표: 2015-16년 평균 가계 지출($1,425) 중 소비 항목별 비교 (통계: ABS Household expenditure survey 2015-16)

주당 가구지출 $1425, 가구당 17만불 부채

주거비, 에너지비용, 교육비, 교통비가 해가 다르게 치솟으면서 생활비 앙등이 저소득층을 짓누르고 있다. 최근 발표된 통계국(ABS)의 2015-16년 가구 지출 설문조사(Household Expenditure Survey)에 따르면 주당 평균 가구지출이 $1,425로 6년 전보다 $190 이상 증가했다. 이 설문은 1만7천여 가구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2004~2008년 기간 동안 주당 평균 소득은 연간 $213씩 증가했다. 그러나 이 기간 후부터는 $1009로 단지 연간 $27 상승에 그쳤다.  

호주인은 10년 전보다 소득 분포에서는 평등해졌지만 6명 중 1명은 2주에 1회 외식을 할 여유가 없다. 10명 중 1명은 단지 헌 옷을 살 정도로 빈곤하다. 그만큼 생활이 어려워졌다. 
서호주가 지난 10년 동안 중간 가구소득이 $1,111에서 $1,782로 최다 상승했다. 반면 타즈마니아는 $950에서 $1,209로 최소 상승에 그쳤고 저소득층 가구가 가장 많다. 

가구 지출 항목 중 주거비(임대비/모기지 상환금) 부담이 가장 크고 그 뒤로 식음료와 교통비 순이다. 그러나 2009-10년 이후 전기/가스 등 에너지 공과금이 26% 급증했다. 물가 인상을 감안한 실질 상승률은 11%다.    

33년 전인 1984년에는 식음료가 가장 큰 가구 지출 항목이었고 주거비(13%)가 세 번째였다. 32년 동안 교육비는 3배 이상 급증했다. 주별로는 ACT와 노던테리토리준주의 물품 서비스비 지출이 가장 많았다. 

호주 가구의 거의 30%가 부채에 허덕이고 있는데 모기지가 가장 큰 요인이다. 현 상황에서 홈론 금리가 소폭 인상될 경우, 1백만 가구가 모기지로 재정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고소득층의 약 1/4도 과도한 부채 상환에 시달리고 있다. 저소득층에서 부채 스트레스를 받은 비율은 6명 중 1명이다. 시드니 주택소유자가 멜번 주택소유자들보다 평균 26만9천불의 모기지 부채가 더 많다. 

호주의 빈부 격차가 30년동안 현 상태로 지속되고 있다. 최고 소득 20%는 2013-14년부터 현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순자산에서 불평등(inequality in net wealth)이 소득불평등보다 높다. 

호주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심화되지 않았지만 소득 점유율은 종전 상태를 유지했다. 
시드니 가구의 평균 순자산은 130만 달러이고 멜번은 95만 달러다. 집값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평균 가구 부채는 2배 증가했다. 가구소득의 최상층 20%가 호주 전체 부의 60% 이상을 소유한다. 최저 소득층 20%는 1% 미만을 소유하고 있다.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를 기준으로 호주는 지금이 2008년보다 더 평등하다.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한 지니계수는 현재 0.323이다. 2003년은 0.306, 2008년은 0.336이었다.   
글로벌 금융위기(GFC) 후 당시 노동당 정부(케빈 러드 총리 시절)가 노인연금을 증액했고 메디케어 부담금 도입으로 복지 확대에 영향을 주었다. 

2003-4년 이후 호주 가구 채무는 2배 이상 늘었다. 호주 전체 가구당 평균 16만9천 달러의 부채를 갖고 있다. 

가톨릭 자선단체 세인트 빈센트 드 폴 소사이어티(St Vincent De Pauls Society)는  “지난 3년 동안 더 많은 저소득층 가정이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면서 저소득층이 ‘워킹 푸어’가 되는 현상에 대해 우려감을 나타내며 정부의 대책을 촉구했다.   
 
세인트 빈센트 드 폴 소사이어티의 수 캐어몰 빅토리아 지부 CEO는 “저소득층 소비자들은 산적된 공과금 통지서를 받으며 매주 지불 가능과 불가능 항목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면서 다음 번 통지서를 두려워해야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그들이 우리를 찾아 음식을 요구하지만 사실상 그들의 스트레스는 다른 것(공과금, 집세 등)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들의 형편없는 소득, 돈을 모을 수 없이 쪼그라든 저축, 경제가 우려되는 점”이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