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 모두들 안녕? 오늘은 각자 입고 있는 옷에 대해서 한 번 얘기해 줄래?
J : 저는 파란색 티셔츠랑 청바지를 입고 왔어요.
M : 저는 너무 더워서 노란색 티랑 반바지를 입었어요.
D : 나는 반바지랑 피카츄가 그려진 연두색 티를 입었어요.
H : 나는 줄무늬 티셔츠에 분홍색 바지를 입었어요.
T : 그럼 우리가 입고 있는 옷은 어떻게 만드는 걸까?
H : 커다란 천에 그림을 그리고, 모양을 오려서 바느질을 하는 거예요. 집에서 엄마가 소파 커버 만드는 거 봤어요.
T : 맞았어. 그럼 아주 오래전 사람들은 어떤 옷을 입었을까? 그림을 보고 얘기해 보자.

J : 동물을 사냥하고 나서, 그 가죽으로 만든 옷 같아요.
M : 맞아요. Early Man이라는 애니메이션에서도 사람들이 동물 털로 만든 옷을 입고 나와요.
T : 맞았어. 옛날 사람들은 나뭇잎을 엮여서 옷을 만들거나 동물의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단다. 그럼 사람들은 어떤 도구를 사용해서 옷을

만들어 입었을까?

H : 뾰족한 건 바늘 같아요.
J : 동그란 건 바퀴모양처럼 생겼어요. 
M : 오른쪽 사진에서 아줌마가 동그란 바퀴모양에 실을 돌리는 거 같아요.
T : 자세히 잘 봤어, 동그란 건 ‘가락바퀴’이고, 뾰족한 건 동물의 뼈로 만든 ‘뼈바늘’이란다. 나뭇잎을 엮어서 옷을 만들어 입던 사람들은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 냈어. 바로 나무껍질에서 실을 뽑는 방법을 알아 낸 거지. 가락바퀴 가운데 있는 구멍에 나무막대기를 끼우고 빙글빙글 돌리면, 돌아가는 힘 때문에 나무껍질이 아주 잘게 쪼개진단다. 그리고 이 껍질들이 꼬여서 실이 만들어지는 거야. 
D : 그런데 나무껍질로 만든 실은 너무 따가울 것 같아요.
T : 그렇지. 그래서 사람들은 부드러운 실을 찾아냈어. 다음 그림이 뭘까?

​J : 애벌레가 나뭇잎을 먹고 있어요.
H : 이거 알아요. 누에고치에요. 
M : 애벌레가 번데기가 되면서 하얀 집을 짓는 거예요.
D : 하얀색 바깥에 실 같은 게 하얗게 있어요.
T : 맞았어. 바로 애벌레와 누에고치란다. 애벌레는 번데기가 되면서 하얀 실로 몸을 감싸서 집을 만들게 되는데, 이 동그란 집이 바로 ‘고치’야. 그리고 깊은 잠을 자고 일어나서 누에나방이 된단다. 사람들은 누에고치를 뜨거운 물에 삶아서 하얀색 실을 뽑아내고, 그 실로 옷감을 만들기 시작했어.
D : 이 실은 아까 나무껍질로 만든 실보다 훨씬 부드러울 것 같아요.
J : 하지만 이 실로 만든 옷은 겨울에 너무 추울 것 같아요.
T : 맞아. 그럼 겨울에는 사람들은 무엇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을까? 그림을 보면서 얘기해보자. 


M : 꽃처럼 생기긴 했는데...잘 모르겠어요.
D : 팝콘처럼 생겼어요. 
H : 솜처럼 생겼어요.
J : 나뭇가지에 눈이 내린 것 같아요. 한국은 겨울에 눈이 많이 오잖아요.
T : 이건 바로 목화꽃이란다. 마치 솜처럼 생겼지만 꽃이야. 고려시대 문익점이라는 사람은 중국에 갔다가 우연히 목화꽃을 보게 되었어. 그때 우리나라에는 목화꽃이 없었기 때문에 굉장히 신기하다고 생각했지. 그런데 문익점은 중국 사람들이 이 꽃으로 실을 만들어 두꺼운 옷감을 짜고, 옷 사이에 솜을 넣어서 겨울옷을 만드는 것을 보게 되었어. 그리고 문익점은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H : 우리나라에 가져오고 싶었을 거 같아요. 사람들이 따듯한 옷을 입을 수 있잖아요.
T : 맞았어. 문익점은 목화씨를 가지고 들어왔는데, 아이쿠 이런! 문제가 생겼단다. 목화꽃은 아주 따듯한 곳에서만 싹을 틔우기 때문에 씨앗이 거의 죽고 말았어. 다행히 몇 개의 싹이 살아서 목화꽃을 재배하는 데 성공했지만 아주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었지. 문익점의 노력 덕분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겨울에 따듯한 솜옷을 입게 되었어. 이제 겨울옷을 입을 때 마다, ‘문익점’과 ‘목화씨’를 기억할 수 있겠지? 오늘도 수고했어. 

천영미
고교 및 대학 강사(한국) 
전 한국연구재단 소속 개인연구원
현 시드니 시니어 한인 대상 역사/인문학 강사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