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활수준 정체 상태”
실질 가처분 가구소득 2001-09년 급속 상승
GFC 이후는 성장 둔화 뚜렷 

멜번대 응용경제사회연구원(Melbourne Institute of Applied Economic and Social Research)은 호주 정부(Dept. of Social Services)의 재정 지원을 받으며 멜번대와 함께 매년 ‘호주 가구, 소득 및 노동 역학관계 설문조사(Household, Income and Labour Dynamics Survey (이하 HILDA)’를 시행한다. 
힐다 보고서는 2001년부터 1만4천명의 호주인들의 삶을 계속 관찰하고 매년 변화 여부를 조사, 장기적 관점에서 호주사회를 진단하는 중요한 연구를 제공한다. 이번 주 발표된 2019 힐다 보고서에서 소득 관련 내용을 발췌했다. - 편집자 주(註) 

“종전보다 먹고살기 더 힘들어졌다”  

“호주도 출생지 환경 벗어나기 어려워져” 

지난 2001-2009년 사이의 호주의 평균 연간 실질 가처분가구소득(average annual real disposable household income)은 현재의 환율로 계산하면 $19,773 상승했다. 이는 연간 $2,472 상승한 셈이다. 그러나 이 상승의 대부분은 2003-2009년 광산붐 시기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이 소득이 연간 약 3천 달러씩 상승했던 호경기였다. 그러나 글로벌금융위기(GFC)가 시작된 2009년 이후는 평균과 중간 소득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였다. 2009-2011년 사이 평균 소득은 $3,156 올랐지만 중간 가구소득은 $542 하락했다. 2012년 이후는 큰 변동이 없었다.  

2001-2005년 최하 소득층(20%) 가구 중 40%가 높은 단계로 이동했다. 2012-2016년에는 38.5%가 이동했다.
반면 2001-2005년 상위 소득층 가구의 44%는 낮은 단계로 하락했다. 2012-2016년 41.5%가 아래 등급으로 하락했다.  

중간 가처분 가구소득. 2009년부터 2017년 사실상 정체 상태다

2015-17년 32-34세 연령층은 2001-03년 15-17세 당시의 소득계층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다. 이는 출생한 경제적 환경에서 벗어나는데 오래 걸린다는 의미다.   

10대 → 30대 초반이 소득 하위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10명 중 1명에 그쳤다. 그 자리에 머무를 가능성은 37%였다.  
소득 중간계층에서 성장한 10대 중 상위 계층으로 상승할 가능성은 17%에 그쳤다. 한 단계 상승 가능성은 19%였다.  
남성보다 여성이 가족 소득 계층에 고착될 가능성이 높다.  
아버지 소득보다 어머니 소득과 연관성이 더 컸다.   

호주인 복지 의존도 낮은 편

HILDA 설문조사의 2001년 시작 당시 18-64세 호주인의 39%는 정부로부터 복지혜택을 받았다. 2017년 이 비율은 31%로 줄었다. 하락의 절반은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 이전에 발생했다.   

지난 10년 동안 어떤 형태로든 정부의 복지혜택을 받은 비율은 2017년 노동 인구의 58%로 2010년 64%보다 다소 줄었다.  

65세 이상 노인층은 노인연금(age pension)과 다른 복지혜택이 필요한 소득의 절반 이상인 비율이 60%에서 51%로 줄었다 

65세 이상 새 퇴직자들(new retirees) 중 노인연금 수혜 계층 비율은 남성이 76%에서 60%, 여성은 64%에서 55%로 줄었다.  

GFC 이전에 대부분 하락해 노인연금 의존이 지속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성별 역할(gender roles) 변화 

GFC 이전 노동인구 중 남성의 73%가 풀타임 근로자들이었다. GFC 이후 이 비율이 67%로 급락했고 그 비율이 정체됐다.  
여성 풀타임 근로자도 GFC로 타격을 받았지만 39.6%로 이전 수준을 만회했다. 
여성 시급이 남성보다 빨리 상승했다. 2001-2007년 여성 시급은 25%, 남성 시급은 21% 상승했다.  
GFC를 지나면서 남성 근로자의 임시직 고용(casual employment)이 증가했다. 반면 여성 임시직은 하락했다.  
맞벌이 커플 중 여성의 소득이 남성을 능가하는 비율이 22%에서 25%로 늘었다. 특히 혼인 신고를 하지 않은 사실혼 관계 또는 동거 상태 커플 중, 자녀가 없는 경우 이런 비율이 더 높았다. 도시보다 지방, 남성이 대졸 학력이 아닌 경우일수록 비율이 더 높았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