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티아고 순례길'은 프랑스 남쪽 생 장 피에 드 포르(Saint Jean Pied de Port)에서부터 피레네 산맥을 넘어 스페인 북서쪽에 위치한 성 야고보의 시신이 묻혀있는 산티아고까지 이어지는 800km길 이다. 
유럽과 미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비유럽인으로는 한국 순례자가 가장 많다는 '산티아고 순례길'을 수필로, 시로 글을 써 온 시드니 동포 박경과 백경이 다른 일행 2명과 함께 다녀왔다.
산티아고 순례길에 대한 수 많은 책과 정보들이 있지만 시드니에 사는 두 여인의 눈을 통해 드러날 산티아고 순례길은 기존의 수 많은 산티아고 이야기들과는 '다른 색깔로 다른 의미로' 다가올 것 같다. 교대로 쓰는 '박경과 백경의 산티아고 순례길' 을  3월 8일부터 11월까지 격주로 연재한다. 백경은 여행길을 사진 대신 그림으로 기록했고 그 일부를 백경의 글과 함께 싣는다(편집자 주).

사하군에서 렐리에고스로 향하는 새벽길, 남보라 하늘에 보름달이 떴다. 사진 몇 장을 찍어 남반부와 북반부의 그리운 이들에게 카톡을 보낸다.

사하군(Sahagun)에서 렐리에고스(Reliegos)로 향하는 새벽길, 남보라 하늘에 보름달이 떴다. 사진 몇 장을 찍어 남반부와 북반부의 그리운 이들에게 카톡을 보낸다. 오른쪽으로 난 도로에서 자전거를 탄 순례자가 한쪽 손을 흔들며 “부엔 까미노”를 외치고 앞서 나간다. 들녘에는 포도 가지치기를 하는 농부도 보인다. 나는 포도밭을 향해 올라(Hola) 하고 큰 소리로 인사를 건넨다. 고개를 숙이고 일을 하고 있던 남자가 손을 흔들며 역시 “부엔 까미노”로 화답을 한다. 

오늘도 밀밭과 보리밭의 경계에서 민달팽이가 우왕좌왕하고 있다. 숲길을 빠져나가는 내내 밟지 않으려고 애쓰며 걷는다. 바람의 방향으로 기울어진 초록색 들녘 위로 붉게 수놓은 양귀비꽃, 그리고 내 작은 발걸음은. 마치 들녘을 박음질하듯 한 걸음 한 걸음 목적지를 향해 걸어가고 있다.  

오늘은 아침부터 마음이 설렜다. 점심 때 먹을 라면 생각에 쉬지않고 17Km를 내리 걸었다. 드디어 도착한 엘 부르고 라네로(El Burgo Ranero) 마을. 두리번거리던 시선이 마을 중간 쯤에서 멈춘다. 익숙한 한글 간판 “한국어 메뉴 있어요! 얼큰한 신라면 먹고가요. 신라면 3.5유로, 햇반 2.5유로, 젓가락도 있어요!” 당연히 한국 사람이 운영할 거라 생각하고 들어간 카페 안에는 스페인 주인이 주문을 받았다. 어떻게 한국음식을 팔게 되었냐고 물으니 몇년 전부터 한국 순례자가 부쩍 많아져 한국음식을 팔기 시작했다고 한다. 한글 메뉴판은 카페에 들른 한 한국 순례자가 적어줬다고 했다. 

주문을 끝내고 야외 테이블에 앉아 신발을 벗고 햇볕에 발을 말린다. 며칠 전부터 오른쪽 엄지발가락이 부어올라 신경이 쓰였던 터였다. 나를 지탱해 주느라 애쓴 나무 지팡이 두 짝도 나란히 벽에 기대어 햇볕을 쬔다. 드디어 배달된 라면, 파 송송 계란 탁 풀어 넣은 신라면. 쫄깃쫄깃한 면발이 입안에서 척 감긴다. 얼마 만에 먹어보는 한국 라면인가. 라면 국물에 하얀 쌀밥을 만다. 아 그래! 이 맛이었지... 김치가 곁들어졌으면 더 없이 좋았겠지만 라면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하다. 라면 그릇을 다 비우고 나니 온몸에서 식은 땀이 줄줄 흐른다. 아.. 어쩌면 몸이 아파 발가락이 부어올랐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슬쩍 스쳐 지나간다. 

독일에서 왔다는 한 순례자는 반려견과 함께 산티아고 길을 걷고 있다.

옆 테이블에서 나이가 60은 되어 보이는 한 남성 순례자가 개와 함께 앉아 주문한 음식을 기다리고 있다. 2월 중순 자신의 집 대문을 열고 나와 지금까지 걷고 있다는 독일 순례자. 그의 옆에 앉아 있는 반려견은 집에 혼자 두고 올 수가 없어 함께 길을 걷고 있다고 했다. 마치 먼 산책을 나온 듯 쉬고 싶은 곳에서 쉬어가는 그의 모습이 편안해 보인다. 

느슨하게 걷고 있는 순례자 앞에 마주 앉은 안간힘을 쓰고 걷고 있는 순례자, 나는 이 길을 걷기 위해 얼마나 많은 준비를 했던가. 2개월여간의 걷기훈련은 물론이고 배낭에서부터 등산화까지 브랜드를 따져가며 꼼꼼히 사전 준비를 했었다. 그리고 지금은 목적지를 정해놓고 로봇처럼 착오 없이 걸으며 멋진 인간으로 변신하길 바라고 있지 않은가.  

 주문한 크라상과 커피가 나오자 남자는 배낭에서 조그만 책 한 권을 꺼내더니 커피를 마시며 책을 펼친다. 나도 핸드폰의 메모장을 열고 오래 전 적어 두었던 메모들을 훑어본다. 문장 하나가 들어온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생전 묘비명을 중얼거리며 로봇에서 감정을 가진 인간지능으로 진화를 시도해본다.
드디어 레온(Leon)에 입성했다. 전체 산티아고 길의 약 3분의 2쯤 거리에 있는 대도시다. 갑자기 내린 소나기를 피하지 못하고 그대로 맞고 와서인지 등짝이 서늘해지며 허벅지가 떨리기 시작한다. 파나돌 두 알을 삼킨 후 상점들이 문을 닫기 전에 등산복 바지 안에 껴입을 면바지를 사 입으려고 알베르게를 나서는데 정원 벤치에 앉아 있는 아랑 씨가 보인다. 카리온 알베르게에서부터 만난 인연, 저녁을 함께하지 않겠냐고 했더니 돈을 아낀다며 저녁을 거르겠다고 한다. 적은 돈을 들고 산티아고 길에 오른 그녀, 마드리드에서부터 걷기를 시작한 그녀의 신발은 그동안의 여정을 말해주듯 등산화 앞코가 걸을 때마다 벌어져 벌름거린다. 

“어떻게든 남은 돈과 이 신발로 산티아고 길을 마무리 하고 싶어요.”라고 말하는 그녀를 데리고 시내 중심가로 나가 오랜만에 허리에 차고 있던 지폐를 푼다. 해물 빠에야로 저녁을 배불리 먹고 보다폰 샵에 들어가 유심칩도 갈아 끼우고 미로처럼 이어진 골목길을 산책한다. 오랜만에 마주하는 대도시 건물, 눈에 익숙한 광고, 대로변을 장악한 유명 상점들, 분주하게 오가는 사람들. 브루고스에서도 그랬지만 나는 어느 새 다른 행성에서 온 외계인처럼 이 도시가 낯설고 생경하다. 

레온 광장에서 스페인 사람들의 축제를 멍하니 지켜보다가 어느 작은 마을 휴게소에 도착해 나는 누군가에게 엽서를 썼다.

레온을 출발해서 36km쯤을 걸어 도착한 호스피탈 데 오르비고(Hospital de Orbigo) 마을, 산티아고 길에서 가장 긴 호스피탈 데 오르비고 다리가 입구에서 지친 순례자를 맞아준다. 아치형 다리를 건너가니 마을 전체가 축제 분위기다. 내일이 1년에 한 번 있는 마을 축제날이라고 한다. 돼지 귀. 허파. 간이 뜨거운 솥에서 펄펄 끓고 있다. 골목 한쪽 매대에서는 갖가지 수제 소시지, 치즈. 야채, 과일이 진열되어 있고 보자기 위에 펼쳐진 좌판에서는 다양한 전통 공예품, 수예품들이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그러나 순례자에게는 그림의 떡, 눈으로만 담는다.  

성당 알베르게에서 친구 S를 비롯해 오가며 반가운 사이가 된 카타리나 언니, 아랑씨 그리고 선배를 만났다. 우리는 반가움에 짐을 내리자마자 의기투합해 우비도 쓰지 않고 동네 슈퍼로 달려가 저녁 만찬 거리를 샀다. 스테이크, 양상추, 가지, 앤초비 그리고 쌀을 사 와서 밥을 지었다. 6월의 푸른 나무 그늘에 차려진 소박한 저녁상. 선배가 로컬 레드 와인 두 병을 슬쩍 테이블 위에 올려 놓으신다. 

지글지글 잘 구워진 소고기 한 덩어리씩 담긴 접시를 앞에 놓고 조급해지는 눈과 입. 오랜만에 먹는 스테이크가 입에서 살살 녹는다. 조금 전 주방에서 이탈리아 순례자가 나눠 준 요리, 양상추에 앤초비를 올려 싸 먹는 맛도 일품이다. 석양이 지는 하늘에 붉은 와인잔을 부딪치며 누군가 “내일도 태양은 뜬다”를 외치는 순간, 우리 쪽을 향해 휘청거리며 다가오는 수상한 물체. 로그로뇨 알베르게에서 본 그 재수댕이 ‘미국인 미꾸라지(별명을 붙임)’가 고기 냄새를 맡고 우리 테이블을 향해 코를 킁킁대며 다가오는 것이 아닌가. 

며칠 전 로그로뇨 알베르게 휴게실에서 술에 취한 미꾸라지가 이른 저녁을 먹고 있던 몇몇 젊은 한국 여자들에게 수작을 걸기 시작했다. 여자들이 그를 외면하자 이번에는 그녀들에게 시비조로 식사예절에 대한 팁을 하나 알려주겠다며 영어로 일장 연설을 한다. 서양에서는 식사할 때 입을 다물고 소리나지 않게 음식을 씹는 것이 예의라며 이곳은 유럽이니 서양식의 예법에 맞게 식사를 해줬으면 좋겠다고 큰 소리로 말한다. 엉겁결에 당한 일이라 상황 파악이 안 된 한국 순례자들은 당황해서 서로 눈빛을 주고받고, 주변에 앉아 있던 서양 순례자들이 눈살을 찌푸리며 미꾸라지를 바라본다. 한 사람의 돌출된 행동이 여러 사람의 표정을 한순간에 바꿔버린 그 장면이 내 기억 속에 정지 화면으로 남아 있다. 결국 알베르게 자원봉사자가 나타나 그를 데리고 나가며 상황종료가 되었지만 불쾌한 감정이 남을 수밖에 없는 사건이었다. 

알베르게 야외 테이블에서 저녁 민찬을 하고 있는데 로그로뇨에서 봤던 그 ‘미꾸라지 순례자’가 술에 취해 비틀 거리며 우리 쪽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런 그가 이제 우리가 앉아 있는 테이블로 다가온다. 그러더니 고기 냄새가 좋다며 코를 킁킁거리며 테이블 주변을 맴도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그에게 고기 한덩어리 주고 내쫓을까 생각도 했지만 우리들의 멋진 저녁 시간을 망치고 싶지 않아 그를 외면했다. 그러나 그는 맥주병을 홀짝거리며 음식을 향해 계속 손가락질을 하며 관심을 보여 우리를 신경 쓰이게 했고 결국 우아하게 앉아 스테이크를 썰던 영어 선생님인 카타리나 언니가 그에게 말한다. “미안하지만 여긴 우리 테이블이니 저쪽 저 빈 테이블로 옮겨가 줄 수 있겠니?” 그는 여기가 그늘도 있어 좋다며 계속 앉아 있겠다고 큰 목소리로 말한다. “그렇다면 네 목소리라도 좀 줄여줄 수 없겠니? 우리나라 예법에서는 밥 먹을 때 너처럼 주변을 왔다 갔다 하거나 큰 소리로 말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일이거든? 시끄럽게 피해를 주지 말고 네 자리로 돌아가는 건 어떨까? 그리고 너희 서양에도 이런 속담이 있는 거 혹시 아니?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강물을 흐린다.” 동작이 민첩한 젊은 아랑씨가 핸드폰에서 신속하게 속담을 번역해 그의 코 앞에 다시 들이댄다. 그렇다. 산티아고 길에도 물을 흐리는 미꾸라지가 살고 있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