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꿀벌처럼 분홍 꽃, 노란 꽃, 흰 꽃을 부지런히 쫓다가 핸드폰을 꺼내 셀카를 찍는다. 햇볕에 그을린 야생화 한 송이, 나도 꽃이 된다.

산티아고 순례길'은 프랑스 남쪽 생 장 피에 드 포르(Saint Jean Pied de Port)에서부터 피레네 산맥을 넘어 스페인 북서쪽에 위치한 성 야고보의 시신이 묻혀있는 산티아고까지 이어지는 800km길 이다. 
유럽과 미국, 캐나다를 제외하면 비유럽인으로는 한국 순례자가 가장 많다는 '산티아고 순례길'을 수필로, 시로 글을 써 온 시드니 동포 박경과 백경이 다른 일행 2명과 함께 다녀왔다.
산티아고 순례길에 대한 수 많은 책과 정보들이 있지만 시드니에 사는 두 여인의 눈을 통해 드러날 산티아고 순례길은 기존의 수 많은 산티아고 이야기들과는 '다른 색깔로 다른 의미로' 다가올 것 같다. 교대로 쓰는 '박경과 백경의 산티아고 순례길' 을  3월 8일부터 11월까지 격주로 연재한다. 백경은 여행길을 사진 대신 그림으로 기록했고 그 일부를 백경의 글과 함께 싣는다(편집자 주)

앞을 보지 못하는 아버지를 위해 딸이 지팡이를 나눠 잡고 걸어가고 있다. 그 뒤로 거리를 두고 그림자처럼 부녀를 살피며 걷고 있는 또 다른 순례자.

새벽 6시 10분, 아랑씨와 무리아스(Murias) 공립 알베르게를 나와 어둠을 뚫고 숲길을 걷는다. 어둠 속에서 나를 배려하며 나란히 걸어주던 20대 아랑씨는 아침 해가 밝아오자 어느 새 점으로 사라지고 노란 화살표가 대신 길 안내를 한다. 4km쯤을 더 걸어 도착한 산타 카탈리나(Santa Catalina de Somoza), 동네 주민들이 아직 깨지 않아 조용하기만 한 이른 아침, 골목 왼편에 있는 한 알베르게 마당에서 눈 인사만 주고받았던 한국 중년 남자가 선크림을 바르고 있다. 그를 지나쳐 골목 안으로 들어간다. 동네 중간 쯤에 순례자를 위해 문을 연 카페가 보인다. 프라이팬, 주전자, 큰 머리 빗, 가죽 모자 등을 천장에 주렁주렁 매달아 놓은 카페. 아침도 할 겸 커피 한 잔을 시킨 후 배낭에서 삶은 달걀과 살구와 복숭아를 꺼내 먹고 있는데 어디선가 한국말이 들려온다. 

“아빠 여기 앉으세요”. 아버지가 야외 테이블 의자에 배낭을 내린다. 그동안 모녀가 함께 걷는 것은 보아왔지만 부녀지간에 순례길을 걷는 것을 본 것은 처음이라 자꾸 시선이 간다. 20대 초반으로 보이는 딸이 50대 후반으로 보이는 아버지 앞에 찻잔을 놓아주고 바나나 껍질을 까주고 모자를 벗겨주며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그들의 등 뒤로 아침 햇살이 살포시 내려와 이야기를 엿듣고 나는 한 편의 시를 눈으로 읽는다.  
 

철십자가에 그동안 지고 온 돌멩이를 내려놓는다.

오늘은 피레네 산맥 이후 다시 마주 한 칸타브리아(Cordillera Cantábrica)산맥의 한 끄트머리를 넘어가야 한다. 해발 1,500고지. 그러나 출발점이 고도 900m에 있어서인지 크게 부담은 되지 않는다. 슬금슬금 경사진 들녘을 지나 도착한 간소(El Ganso) 마을. 이제부터 오르막길이 시작된다. 가파른 산길을 한참 올라가니 야생화가 산 능선을 타고 군무를 이루며 피어있다. 나는 꿀벌처럼 분홍 꽃. 노란 꽃. 흰 꽃을 부지런히 쫓다가 핸드폰을 꺼내 들꽃을 배경으로 셀카를 찍는다. 햇볕에 그을린 야생화 한 송이, 나도 꽃이 된다. 

해발 1,430고지 산 정상에 우뚝 선 마을 폰세바돈(Foncebadon). 천 년 동안 순례자들의 피난처가 되어주었다가 한동안 버려지기도 했던 마을. 한쪽 지붕이 기울어진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골목을 들어서니 창문 발코니에서 햇볕을 쬐고 있던 붉은 제라늄이 내게 등을 구부려 인사를 건넨다. 12시 30분. 예상보다 일찍 도착했다. 점심을 한 후 산 너머 마을 아세보(El Acebo)까지 더 가서 짐을 풀까 하다가 구릉 위로 석양이 지는 것이 보고 싶어 성당 알베르게로 발길을 옮긴다. 침대 배정을 받고 어두컴컴한 실내로 들어선다. 오래된 목조 건물에서 나는 퀴퀴한 냄새. 한때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던 넓은 홀에 2층 침대가 빈틈없이 들어차 있다. 샤워를 끝내고 양말만 손 빨래해서 햇볕이 있는 뒷 마당으로 나간다. 올리브 나무가 심어진 뜨락. 햇볕이 내려앉은 바위 위에 양말을 올려놓고 감자 칩 한 봉지를 사 와서 성당 담벼락에 쪼그리고 앉는다. 가만히 앉아 있으니 몸에 찬기가 올라온다. 달리 할 일이 없는 오후. 나는 변덕스럽게 불어대는 바람을 맞으며 이 곳을 통과해 다음 마을로 씩씩하게 걸어가는 순례자의 뒷모습을 쳐다보거나 어슬렁거리며 돌아다니고 있는 동네 개의 뒤꽁무니를 쫓는다. 

맞은편 공터, 구멍 뚫린 벽돌 사이에 햇볕이 내려앉는다. 골목에서 불어온 바람이 풀숲을 흔들자 새 한 마리가 푸드득 빨간 지붕 위로 날아오른다. 그리고 다시 찾아온 고요. 햇볕 속으로 침묵이 내려앉는다. 나도 소리를 내려놓는다. 마음속 쳇바퀴 돌아가는 소리. 입에서 내는 시끄러운 소리. 공허를 채우는 흥얼거림. 그림자를 깨우는 바람. 마지막 순례자가 산을 넘어가자 건너편 카페도 문을 닫는다. 나도 찬바람을 피해 눅눅한 냄새가 나는 실내로 들어와 2층 침대에 누워 멀뚱멀뚱 천장을 쳐다본다. 나는 지금 왜 이 춥고 낯선 곳에 누워 있는 걸까.

새벽 6시 폰세바돈 숙소를 나와 철십자가(La Cruz de Ferro)가 세워진 곳으로 향한다. 비와 함께 바람이 거세게 불어 앞이 보이질 않는다. 어둠 속에 숨어 버린 노란 화살표. 발을 내디딜 때마다 등산화가 첨벙 물웅덩이에 통째로 빠진다. 젖은 신발로 30분쯤 걸었을까. 어둠을 가르며 십자가가 뿌옇게 모습을 드러낸다. 5m 높이의 철십자가. 그리고 그 주변으로 둘러싸인 돌무더기 위에 Andrew, Sue, 나무, 하트, 십자가 등이 새겨진 작은 돌멩이가 돌무덤을 이루고 있다. 나도 배낭에서 그동안 지고 온 돌멩이 하나를 내려놓는다. 짐이었는지 아니면 놓고 싶지 않은 마음 한 자락이었는지. 

자갈과 바위가 많은 하산 길. 멀리 안개 속에서 산 능선을 타고 풍력 발전기가 불빛을 깜빡이며 돌아가고, 짙푸른 산 구릉 위로 무지개가 선명한 색을 띠며 하늘에 곡선을 그린다. 들녘에선 소 떼가 한가하게 풀을 뜯고 있다. 나는 양팔을 활짝 펼쳐 한 마리 새가 된다. 그러나 곧 몸에서 급히 보내오는 신호, 나는 왜 아름다운 풍경을 보면 오줌이 마려운 것일까? 주변을 두리번거리며 볼일 볼 곳을 찾고 있는데 뒤에서 발소리가 들린다. 어제 카페에서 봤던 부녀다. 딸이 지팡이 앞쪽을 잡고 앞장을 서고 아버지가 뒤를 잡고 따라 내려오고 있다. 그리고 그 뒤로 거리를 두고 걸어 내려오고 있는 또 한 사람. 

(중간 글) 누군가 그랬던가? “산티아고 길은 내가 길을 걷는 길이 아니라 내가 길이 되는 것이라고. 그리고 내 발걸음이 누군가의 길이 되어주는 것이라고..”  

그들에게 길을 내준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야생화에 취해 느긋하게 내려오는 길,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점점 굵어지는 빗줄기. 그리고 얼마 가지않아 맞닥뜨린 급경사 자갈길. 인적 없는 산길. 문득 혼자 밖에 없다는 사실에 두려움이 엄습해 온다. 불과 몇 분 전까지 푸른 대지 위에서 해방을 부르짖던 인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음의 감옥에 갇혀버렸다. 2시간여 동안 겁에 질린 포로로 내려온 산길. 산 중턱 마을 아세보(Acebo)에 도착하자마자 비 맞은 생쥐 꼴로 쉴 곳을 찾아 두리번거린다. 

피레네산맥 이후 다시 마주한 해발 1500고지, 칸타브리아 산맥의 한 끄트머리를 넘어가야 한다.

카페에 들어서니 부녀와 뒤따르던 남자가 한 테이블에 앉아있다. 맞은편에 앉은 서양 남자가 크라상을 반으로 나누더니 한국 부녀에게 건넨다. “크라상인데 반쪽 먹을래요?” 소녀가 미소를 짓더니 빵을 받아서 아버지에게 건넨다. 그들은 서로 구면인 듯 편안해 보인다. 그리고 그들의 테이블에서 들려오는 유창한 영어. 나는 다시 그들을 돌아본다.  

목적지인 폰페라다(Ponferrada)로 향하는 길. 암브로스(Riego de Ambros)를 지나는데 한 한국 여성 순례자가 앞서가는 부녀에게 반갑게 다가가 인사를 건넨다. “아이고 비도 많이 내렸는데 어떻게 그 험한 산길을 내려왔어? 나는 배낭없이 내려왔는데도 힘들던데. 세상에 이런 착한 딸이 어디 있어? 천사야~ 천사~” 여자가 연신 딸에게 칭찬을 쏟아낸다. 딸이 수줍은 미소로 대답하고 뒤에 서 있던 아버지도 지그시 눈을 감는다.

밴쿠버에서 온 부녀. 22살 딸이 앞을 보지 못하는 아버지의 지팡이가 되어서 산티아고 순례길을 나선 것이다. 혼자도 어려운 이 길을 맹인 아버지와 함께 걷다니..! 그리고 부녀의 보폭에 맞춰 뒤를 따라 걷고 있는 서양 남자, 호주에서 온 니콜라스(Nicolas)다. 그는 작년에 죽은 이모가 생전에 그토록 걷고 싶어했던 길을 자신이 대신 걷고 있다고 했다. 그런 그가 아무도 눈치채지않게 부녀의 그림자가 되어 뒤를 살피며 걷고 있는 것이었다.  누군가 그랬던가? “산티아고 길은 내가 길을 걷는 길이 아니라 내가 길이 되는 것이라고. 그리고 내 발걸음이 누군가의 길이 되어주는 것이라고”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