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전염을 막기 위해 정부가 내린 봉쇄조치(lockdown)로인해 회사 업무가 중단되어 집에서 일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직장으로 복귀하고 있다. 일부는 여전히 재택근무를 한다. 집에서 인터넷을 통해 회사 업무를 처리한다.
 
호주 정부는 또 기업체의 대량 해고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줄이기 위해) 일자리유지보조금를 2주당 $1,500 지급하고 있다. 약 350만명의 근로자들(JobKeepers)이 이 혜택을 받고 있다. 6개월 동안 약 700억 달러의 예산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같은 구제안에도 불구하고 실업난은 막기 어렵다. 실직수당(JobSeekers Payments) 수혜자가 4월말 83만3천330명으로 한달 새 10만5천여명이 늘었다. 이들에게 코로나 팬데믹 기간동안 2주간  $1,164를 지원한다. 과거 실직수당(Newstart Allowance)은 2주  $550에 불과했지만 코로나 사태로 어려움이 커지면서 금액을 대폭 상향 조정했다. 명칭도 구직수당(JobSeekers Payments)으로 변경했다.  

문제는 이같은 구제조지가 종료되는 10월부터다. 10월이 되면 수혜 인구가 160만명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AMP 캐피탈의 쉐인 올리버(Dr, Shane Oliver) 수석경제학자는 “9월말 구제안이 끝나면 엄청난 후유증에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구가 적어 내수기반이 취약한 호주 경제는 세계 경제에서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중국 의존도가 매우 높다. 지난 1990년대 초기부터 29년동안 불황을 모르고 지낸 호주 경제는 14억명의 거대한 중국 시장의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디 오스트레일리안(The Australian)지의 그렉 쉐리단 칼럼니스트(전 국제부장)은 “1950년대 호주 경제를 마치 우리가 오늘 경험하는 록다운에 비교하면서 흑백 TV조차 구하지 못해 잘사는 미국만 동경했다고 회고했다.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양털이 많이 팔려 실업자들이 많이 줄었다. 1930대 경제대공황 시기에는 도시에 일자리가 없어 도시인들이 농촌에 가서 어려운 일을 하면서 양고기 한 덩어리를 노동 대가로 받았다. 

지난 3월 말까지 호주 정부의 부채는 약 4,300억 달러였다. 코로나 사태로 정부 지출(복지 수당)이 급증하면서 앞으로 정부의 부채는 더 많아 질 수 밖에 없다. 필립 로우(Dr. Philip Lowe) 호주중앙은행(RBA) 총재는 "정부가 보조금을 빨리 끝내지 말고 더 연장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호주 경제 회복에도 최소 2년 이상 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바이러스 감염에 조심하면서 경제활동에 복귀해 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 것 외 다른 방도는 없을 것 같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