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 감염 및 사망 통계에 이어 미니에폴리스(Minneapolis)의 흑인 질식사가 촉발한 유혈 폭동을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미국 사회의 처참한 민낯에 충격을 받고 있다.  

지난 5월 25일 미국 백인 경찰이 비무장한 흑인 조지 플로이드(46, George Floyd)를 체포하면서 목을 무릎으로 눌러 질식시켜 숨지게 했다. 미국 중북부 미네소타(Minnesota)주 경찰의 과잉 대응과 인종차별 규탄에서 시작된 전국적인 항의 시위가 급기야 유혈 폭동과 무정부 상태로 악화된지 1주일이 넘었다. 3일 미국 40여개 도시에서 야간 통행금지가 발동된 상태라고 한다.

폭동이 확산되며 미국내 한인들의 피해도 늘고 있다. 한국의 중앙일보가 사건의 진원지인 미네소타주의 황효숙 한인회장과 2일 화상 인터뷰를 했다. 

▲ 인터뷰 바로가기: 
https://news.joins.com/article/23792097?cloc=joongang-home-newslistleft

“흑인 분노할만큼 차별 받아”.. 호주는 어떨까? 

미네소타주 한인회장 인터뷰(중앙일보 웹사이트 캡쳐)

미네소타주에는 교포 약 1만명과 한국계 입양인 2만여명이 있다고 한다. 현지 거주 40년정도 된다는 황 회장은 “이런 시위는 미네소타 역사상 처음”이라고 심각성을 설명하고 “한인 업소 7개정도가 약탈과 방화로 큰 피해를 당했다”고 전했다. 7개 업소 중 5개는 흑인들이 좋아하는 옷•가발•장신구 등 잡화를 파는 가게였다. 

‘흑인 시위가 일어난 원인’에대해 황 회장은 “흑인들이 분노할 만큼 차별을 받기 때문”이라고 간단명료하게 설명했다.

“아시아 사람들, 한국인•중국인•일본인에게 직접 차별을 안 해요. 그런데 흑인은 또 다른 차원에 있어요. 그분들은 여러 가지로 분노가 날 만큼 차별을 받아요. 그런데 대해서 정말 측은하고…”

제도적 개선책이 사실상 거의 없는 상황에서 차별을 받던 계층이 수십년 억눌렸던 분노가 조지 플로이드 질식사망 사건으로  폭발했고 그 후속 상황을 지금 우리가 지켜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응에 대해 황 회장은 “슬기롭게 사태를 막지 못하고 악화시켰다”라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상황에 도움이 안 돼요. 이런 문제는 잘 달래서 이야기도 하고 해야 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좀 유별나잖아요. 트럼프 대통령이 "약탈하면 총 쏘겠다"고 며칠 전에 말했잖아요? 그렇게 하면 부채질이 되는 거지.”

정확한 지적이다. 악에 받친 군중들(특히 흑인들) 입장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려 죽거나 아니면 실직해 굶어 죽나 별반 차이가 없다. 이런 상태에서 럭셔리숍의 쇼윈도가 파괴됐고  안에 있는 물건은 약탈됐다. 일부 한인 상점들도 수난을 당했다. 

이어 황 회장은 미국의 코로나 사태에도 인종 문제가 있다고 개탄했다. “백인하고 아시안은 많이 안 걸렸다. (미네소타의 흑인 인구 비율이 7%인데 코로나 확진자는 16%를 차지한다. 흑인들의 기저질환이나 낙후된 생활 여건이 이유로 꼽힌다.) 코로나에 대한 교육이 잘 안 됐던 것 같다. 인종 차별이나 사회적 계층 문제가 거기서도 나온다. 가슴 아픈 일이다.”

4일 미국의 코로나 확진자는 181만1천여명이고 사망자는 10만5천명을 넘어섰다. 미국이 확진자와 사망자 모두 압도적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갖고 있다. 확진자 2위인 브라질은 약 53만명으로 미국의 3분의 1이고 3만9천여명이 숨진 영국이 사망자 2위 국가인데 미국의 약 40% 선이다. 

미국내 사망자의 인종적 통계가 없지만 아마도 상당수가 흑인과 히스패닉계열인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 위기와 인종 폭동의 아수라장 속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자극적 언동은 계속되고 있다. 두 개의 엄청난 사태에 대한  해결 의지는 거의 보이지 않은면서 그는 재선을 목표로 내편과 나를 지지하지 않을 유권자들의 구분에 몰두하고 있다. 

플로이드 사망 추도행사에 참석한 한 흑인 지도자는 성난 시위대에게 폭동에 참여하지 말고 유권자로 등록해서 반드시 투표를 하라고 당부했다. 그는 대선에서 누구를 찍어야할지를 분명하게 정하고 실천하라고 요구했다. 호주와 달리 의무투표가 아닌 미국의 투표율은 매우 낮다. 심한 경우 20%에도 못미친다고 한다. 공평한 공권력 행사의 첫 걸음은 높은 투표율로 민의가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는 공허한 외침일 수 있지만 정말 중요한 문제다. 미국에서 빈번하게 경찰의 공권력이 남용되어도 솜방망이 처벌법을 뜯어 고치려면 선거를 통한 사회개혁 외 다른 방도가 없다. 

그런 점에서 의무투표제를 채택한 호주는 정말 다행이다.   

코로나 사태 대응에서도 호주의 보건제도가 탁월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선진국 중 양호한 편이다. 급증 추세 감염을 억제한 1등 공신은 국민들이 보건규정을 준수하며 조용히 집에 머문 준법성과 시민의식이다. 국내에서는 ‘루비 프린세스호 처리 실패’사례를 보고 자극을 받았고 해외에서는 이탈리아, 영국, 미국을 보며 충격을 받았다. 초강대국에서 더 이상 배울게 없는 시대인가 보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