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4백여명 사망, 7만명 감염 등 부작용 커 정책 실패” 비난 

스웨덴은 봉쇄정책대신 자발적 거리두기 정책을 취했다

코로나 펜데믹 대응에서 호주의 전면적 봉쇄 정책보다 스웨덴의 집단 면역 전략을 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옥스퍼드대학 동물학부의 수네트라 굽타(Sunetra Gupta) 이론 역학 교수는 “호주 정부의 자가당착적 정책은 국가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다”고 전망했다. 

스웨덴 정부는 코로나-19의 대책으로 전면적 봉쇄 대신 제한적 거리두기만을 시행하며 국민의 면역력을 기르는 집단면역 정책을 취했다. 그 과정에서 5천명 이상이 사망했다. 

굽타 교수는 “바이러스에 취약 계층을 강력히 보호하고 다수의 사회 구성원들이 면역력을 가질 경우 코로나로 초래하는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봉쇄 정책으로는 코로나-19의 완전종식은 불가능하다. 일부 해제되면 다시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자연스런 현상이며 봉쇄는 코로나-19에 대한 답이 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미국 남부나 호주의 경우에도 이미 바이러스가 확산된 곳에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면역성을 가졌기 때문에 재확산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스웨덴의 집단면역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보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술집과 식당 등 상점 영업을 허용하는 등 시민들의 자율적 선택에 맡기며 스웨덴만의 독창적 모델로 관심을 받았지만 취약층을 희생시켜 집단면역을 추구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 

인구가 적고 의료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 나라임에도 사망자 5447여명을 포함해(7일 현재) 확진자가 7만명을 넘어 섰고 그중 90%이상이 60세 이상이다. 

스웨덴 '집단면역' 책임자인 안데르스 테그넬 공공보건청장은 적어도 40%의 인구가 코로나-19에 면역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집단 면역을 달성하려면 인구의 최소 60%가 바이러스에 면역이 있어야 된다고 주장한다. 

봉쇄 정책으로 호주가 경제 위기를 맞아 스웨덴 방역 방침을 호주에 일부 반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일각에서 나온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