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 작고 원자재를 많이 수출하는 호주는 관세 없는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세계 여러 나라들과 무역을 하는 것이 국가 이익을 도모하는 길이다. 그래서 1970년 영국이 유럽연합(EU)에 가입하는 동시에 영연방국가간 자유 무역이 중단됐다. 특히 경제 규모가 작은 뉴질랜드는 큰 타격을 받았다.

호주는 1973년 벡호주의을 폐기하고 다문화주의를 천명했다. 이어 호주는 한국과 힘을 합쳐 아세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창설을 주도했다. APEC은 1989년 11월 캔버라에서 11개국이 모여 결성됐다. 이같은 교역 확대로 호주의 경제규모가 세계 13위로 성장했다. 
그러나 30% 가까이 중국에 의존했던 무역이 지나치다 보니 중국과의 정치적 마찰이 자주 발생하게 됐다. 지난 4월 중국이 호주산 소고기 수입 규제와 호주산 보리 수입에 관세 88% 부과에 이어 포도주 반덤핑 조사 방침을 발표했다.

호주로서는 당황스런 입장에 놓이게 됐다. 도처에서 무역 다변화를 외치지만 이렇다할 대안이 없다. 믿었던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자유무역은 절대하지 않겠다고 나서면서 관세 장벽을 강화하고 있다. 국방에서도 호주 스스로 해결하기위해 10년동안 2700억 달러의 막대한 예산을 들여 자체 국방을 서두르고 있다. 

이런 시기에 지난 8월 호주의 제임스 패터슨(Jame Paterson) 상원의원(자유당)이 중국의 호주산 불매운동에 대처하기 위해 이른바 ‘캔주크(CANZUK)’ 경제 협력체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자유무역을 주장하는 호주와 캐나다, 뉴질랜드, 영국의 경제협력체를 제창했다. 미국을 제외한 4개 영어권 국가들의 GDP는 미화 6조5천억 달러에 달하고 무역액수도 3조6천억 달러를 넘어 거대한 경제 블럭인 미국, 유럽연합, 중국과 대등한 경제체제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영국은 과거 1960년대까지 세계 제일의 경제 대국으로 미국을 능가했고 과거 식민지였던 영연방국들과 자유무역을 이끌어 왔다. 영국은 유럽연합 가맹 후 기대했던 이익을 보지 못했다. 특히 강제로 이민 및 피난민 배당에 큰 부담을 느낀 영국 국민들은 2016년  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하는 국민투표를 실시 해 간발의 차이로 승리했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Brexit) 절차가 올해 거의 마무리 된다. 그러나 영국은 유럽연합을 탈퇴했지만 북대서양군사동맹인 나토(NATO)에는 머물기로 했다.

과거 영연방국가들는 현재 50여개 이상이지만 영국 후손들이 거주하는 곳은 미국을 제외하고 ‘캔주크’의 4개국이 실세 역할을 한다. 캐나다는 프랑어권 지역이 공존한다.
 
CANZUK 경제협력체를 원하는 나라는 뉴질랜드 82%, 캐나다 76%, 호주 73%, 영국 68%였다. 경제협력기구가 된다면 수출 수입만 자유로운 것이 아니라 언어가 같으므로 서로 기술인력과 교사, 의사, 간호사처럼 부족하기 쉬운 직종들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럽연합을 탈퇴한 영국은 국가별 FTA 협상에서 경험을 얻기위해 토니 애봇 전 호주 총리와 알렉산더 다우너 전 호주 외교장관을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 애봇 전 총리 재임 시절 호주는 한국에 이어 일본과도 FTA를 타결했다.

역사적으로 호주와 영국은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영국을 위해 호주는 큰 희생을 감수했다. 1914년 영국이 세계 1차 대전에 참전했을 때 인구 500만에 불과했던 호주에서 연인원 41만7천명을 징집해서 영국이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 전쟁에 파병했다. 사망자만 6만여명이었고 중경상자가 15만7천여명에 달했다. 2차 세계대전에는 연인원 99만3천명을 동원해서 주로 유럽 전선에 보냈다. 사망자 약 3만명, 부상자 4만8천여명이었다. 최근 아프칸 전투에서도 호주와 영국은 같은 전우로 참전했다.
2016년 인구조사에서 해외 출신자 중 영국인이 120만명이었다. 그만큼 호주의 사회 여러 분야에서 영국의 영향력과 관계는 여전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호주는 미국 일본 인도와 더불어 쿼드 체제로 아시아 태평양-인도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는 역할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