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 시대에는 인구, 자본. 기술의 자유로운 이동으로 자기 모국이 아닌 곳에서 사는 인구가 많아졌다. 그들은 크게 두 유형으로 나뉜다. ‘디아스포라(Diasporas)’와 ‘초(超)국적인(Trans-nationals)’이다. 

디아스포라는 가난, 전쟁, 탄압에 의해 조국을 떠난 사람이고 초국적인은 좀 더 나은 문명생활을 위해 떠난 사람이다. 디아스포라(Diaspora)의 원래 뜻은 ‘이산(離散)’이다. 

서기 66~70년 이스라엘의 967 명 열심당원(Zealots)이 1만 5천명의 로마군에게 포위된 상태로 마사다(Masada) 요새에서 3 년 이상 저항한다. 마사다는 흑해 옆 2백여미터 절벽 위 천연요새이다. 헤롯왕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1천명의 군대가 3년간 먹을 식량과 물을 비축했다. 

그들은 성벽이 허물어지자 전원 자살한다. 이 일로 유태인에게 질려버린 로마황제 티토(Titus)는 유태인들을 이스라엘에서 추방한다. 1년에 한번 ‘통곡의 벽’에 와서 기도하는 것만 허용했다. 그래서 유태인들은 2 천년간 유랑민족이 된다. 자기의 의지와 상관없이 조국을 떠나 망향의 슬픔을 갖고 사는 사람들을 ‘디아스포라(Diasporas)’라고 부른다. 

중국, 러시아, 일본에 사는 우리 동포는 ‘디아스포라’다. 일제하에서 농사할 땅을 찾아서 갔거나 일제에게 강제동원되었거나 독립운동하러 조국을 떠난 사람들이다.

이에 비해 한국이 산업화되면서 좀 더 낳은 ‘삶의 질’을 찾아 서양 선진국으로 이민가는 사람들이 생겼다.

1965년 미국 이민법 개정으로 2~3 만명의 이민쿼터가 한국에 매년 주어진다. 70 년대에 호주,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유럽 등 서양 선진국에 동포들이 대거 진출한다.

그 중엔 유신체제, 군사독재에 환멸을 느껴서 조국을 떠난 중산층 엘리트도 많았다. 이들은 한국에 오고 싶으면 언제나 항공표만 사면 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초국적인(Trans-Nationals)’ 이다. 

디아스포라(Diasporas)
디아스포라는 강한 민족주의와 귀소본능을 보이며 혈통과 전통을 중시한다. 해외에서 민족군락(Ghetto)을 형성하여 자기들끼리 산다. 시드니의 한국인 집거지(集居地)인 이스트우드나 스트라스필드도 비슷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디아스포라는 단순노동자가 많고 애국심이 강하다. 그래서 심하면 민족분쟁의 원인이 된다. 그 나라 문화나 언어를 체득해 그 사회의 주류와 섞여 살지 않는 대신 한국인끼리 만나고 자기네 모국소식, TV를 많이 접하며 산다. 그들은 대개 교회 같은 한인단체에 속해 있다

초국적인(Trans-nationals)
초국적인은 자기가 선호하는 환경에서 살고자한다. 서양인과 섞이는 것을 당위로 생각하고 한민족문화를 보존하면서 서양문화를 즐기려고 한다. 
초국적인은 전문적 엘리트로서 2중 언어(한국어, 영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많다. 초국적인은 애국심은 약한 대신 분쟁이 생기면 해결사 역할을 한다. 그러나 선진국에 살아도 디아스포라가 있고 후진국에 살아도 초국적인이 있다. 
호주에 온 청소 등 단순노동에 종사하는 생계형 이민자는 디아스포라가 많다. 이민을 받아들이는 나라는 초국적인을 선호한다. 국제감각을 가진 전문인으로 세금도 많이내고 거주국 문화와갈등을 일으키지 않으니까. 

비교
해외동포는 조국의 정치상황을 거리를 두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 안목을 제시할 때가 많다. 초국적인은 세계주의, 다문화주의, 다양한 종교의 포용, 국제무대에서 활동, 개인주의, 개방적 성개념, 타민족과 결혼무방 등 성향을 보인다. 
디아스포라는 민족주의, 단일문화, 단일종교, 혈통주의, 귀소본능, 영토적 정체성, 보수적 성개념, 같은 민족과의 결혼추구의 성향을 보인다. 
세계화는 전 인류사회를 다문화, 다민족 사회로 변화시키고 있으면서 동시에 민족적 단합과 영속성에 대한 현실도 인정하고 있다.(용광로에서 샐러드/모자이크 정책으로) 그래서 글로벌체제와 민족국가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역할이 재조명 되고 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