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출의 59% 생필품.. 교육, 보건, 주거비 등 

필수 소비재가 자유 소비재보다 가격이 훨씬 빠르게 오르고 있다. 불황이더라도 반드시 구매해야하는 생필품값이 상대적으로 더 비싸진 것으로 저소득층의 생활고가 커지고 있다. 

25일 발표된 통계국(ABS)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생필품 가격은 61.4% 올랐다. 생활에 꼭 필요하지는 않는 자유소비재 또는 재량소비재는 38.6% 상승했다. 자유소비재로 분류되는 담배의 가격이 15년 동안 400% 이상 인상된 것을 고려하면 그 격차는 더 커질 수 있다.

연 단위로 나눠 계산하면 자유소비재의 물가상승률(CPI)은 평균 1.07%인 반면 필수소비재의 물가상승률은 평균 2.43%로 두배 이상의 차이가 났다.

호주중앙은행(RBA)은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2~3%에 두고 있다. 즉, 기호품, 사치품 등 비생필품 가격이 안 오르는 상황이 전체 물가상승률을 억제한다고 볼 수 있다. 생필품 가격 인상률은 이미 RBA 목표치를 충족한다.

필수소비재의 빠른 가격 상승이 자유소비재의 가격 상승을 억누르는 요인이었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코먼웰스증권(CommSec)의 크레이그 제임스 수석 경제분석가는 "그 결과, 경제 전반의 물가상승률이 억제돼 RBA의 2~3% 물가상승률 목표의 저점에 기여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필수소비재에 들어가는 비용이 늘어나면, 전체 지출에서 이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도 늘어나기 때문이다.

현재, 호주인은 전체 지출의 59%를 생필품에 쓰고 있다. 이는 2005년의 56.7%에서 2.3%p 오른 수치다.

교육(+89.2%), 보건(+84.4%), 주택(+64.1%)이 이 부문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교육은 중등교육(school)까지만 필수소비재로 분류되고, 대학/TAFE 교육은 자유소비재로 간주된다.

통신비는 2005년 이후 17.5% 하락해 필수품 가격 인상률을 약간 상쇄했다. 비생필품 가격 쪽에서는 가격이 6.1% 떨어진 의류와 신발이 이를 억제했다.

취미, 문화생활, 가구, 생활용품, 서비스 등은 15년 동안 약 10% 올랐다.

수입 대부분을 필수품에 할애하는 저소득층은 고소득층보다 비필수 재화의 낮은 가격 상승의 혜택을 덜 받았다고도 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낮게 깔린 물가상승률이 야기한 금리 인하는 부채가 많은 사람이나, 저금리를 이용해 자산을 보유한 사람들에게 더 큰 이익을 준다. 두 집단 모두 고소득층인 경향이 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