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속성의 한계인가? 조국독립을 위해 투쟁하던 독립군 사이에 주도권 쟁탈전으로 많은 인명이 희생되는 비극을 겪는다.
자유시참변은 1921년 6월 27일 러시아 자유시(스보보드니)에서 붉은군대가 대한독립군단 소속 독립군을 포위, 사살한 사건이다.
이 사건이 일어날 당시 분산된 독립군들이 모두 자유시에 집결하였기 때문에,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의 독립군 세력은 사실상 전부 괴멸되었다.
이 사건으로 독립군 960명이 전사하였고 약 1800여명이 실종되거나 포로가 되었다.
3천명의 희생자를 낸 독립운동 역사상 최대의 비극이자 불상사였다.
1920년 당시 러시아는 내전 중이어서 볼셰비키를 중심으로 한 붉은군대와 반혁명파를 중심으로 한 하얀군대가 대립하고 있었다.
일본군은 하얀군대를 지원하고 있었다.
그 지원 명목 아래 1918년 4월에 일본은 출병했고 하얀군대를 지원하는 속셈은 반일 무장투쟁을 하는 한인독립군을 소탕하고자 했다.
이에 독립군은 적군파에 가담했다.
1920년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에서 독립군에게 참패를 당한 일본군이 신한촌의 민간인을 상대로 대대적인 보복작전을 감행하자 가족을 잃은 독립군은 러시아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이동 중 밀산에서 독립군을 재편성하여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였다.
북로정서군은 서일, 김좌진, 대한독립단은 이청천, 대한독립군은 홍범도가 지휘하고 있었다.
새로 편성된 대한독립군단의 총재에는 서일, 부총재는 홍범도, 김좌진, 조성환이 추대되었다.
총사령관에 김규식, 참모총장에 이장녕이 선출되고, 여단장에 이청천(지청천), 중대장에 김창완, 조동식, 오광선이 선임되었다.
휘하에 1개 여단을 두고, 그 아래에 3개 대대 9개 중대 27개 소대가 편성되어 있었으며, 총병력은 3,500 여명이었다.
밀산에서 겨울을 난 독립군단은 1921년 3월 부대별로 이동을 시작하여 만주일대에서 활동 중이던 문창범, 한창해 등의 도움을 받아 안전지대인 연해주 이만(Iman)에 집결하였다.
당시 간도에는 서일의 군정서, 홍범도의 독립군, 최진동의 총군부, 안무의 국민회군이 있었으며, 러시아 지역엔 김표돌의 이만군, 최니콜라이의 다반군, 임표의 이항군과 고명수의 자유대대, 박그리골리의 독립단군이 있었다.
1921년 1월 중순부터 3월 중순에 걸쳐 모든 독립군들은 자유시에 집결했다.
자유시 집결은 분산돼 있는 독립군 부대들이 힘을 합쳐 단일조직 아래 대일항전이 목적이었다.
적군을 도와 일본군을 몰아냄으로써 자치주를 보장받으려는 의도도 있었다.
그중 자유시로 들어간 이청천 부대는 홍범도의 소개로 소련 적계군 한인부대장인 박일리아 연대장을 알게 되고, 박일리아는 소련 교관을 한국독립군부대에 배치하여 전술법을 교육하는 등 독립군을 훈련시켰다.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자유시에 집결한 한인독립군대 중 이르쿠츠크파와 상해파가 통수권을 놓고 권력다툼을 벌인다.
이르쿠츠파는 대한국민회의를 지지했고, 상해파는 상해임시정부를 지지했다.
상해파를 이끌었던 박일리아는 군통수권 장악을 위해 러시아의 극동공화국 원동부(遠東部) 내의 한인부를 찾아가 협조를 청했다.
당시 한인부에는 상해파의 이동휘계 인물인 박애와 장도정 등이 장악하고 있었다.
이들은 다른 부대와 협의도 없이 극동공화국 군부와 교섭하여 박창은을 총사령관, 그레고리예프를 참모부장으로 지정하여 자유시로 보냈다 동시에 상해파 군대를 사할린의용대로 개칭하고 그 관할하에 자유시 독립군을 두도록 했다.
1921년 2월 중순 자유시에 도착한 박창은 일행은 총사령관으로서의 지휘권을 행사하려 하다가 실패하고 총사령관직을 사임한다.
한인부는 다시 그레고리예프를 연대장, 박일리아를 군정위원장으로 임명하였다.
두 사람은 즉시 군대관리에 착수하고 자유대대에 편입되었던 종래의 이항군대와 다반군대를 마사노프로 이주시키고 간도군대도 강제로 이주시켰다.
그러나 이르쿠츠파는 끝까지 불응하다가 상해파에 의해 장교들이 체포되고, 무기는 압수당하고 지방수비대로 강제로 편입되었다.
자유시에 집결한 독립군들에 대한 군권이 일단 상해파의 승리로 돌아가자 이르쿠츠크파의 오하묵, 최고려 등도 코민티른 동양비서부에 가서 독립군의 통수권을 자기들이 가질 수 있도록 설득했다.
동양비서부는 임시 고려군정회를 조직하고 총사령관에 갈란다시월린, 부사령관은 오하묵을 임명했다.
박일리아는 군사위원회를 조직하고 극동공화국정부와 교섭했으나 실패한다.
자유시에 도착한 갈란다라시윌린은 자유시의 전부대를 소집하여 자신이 고려군정의회의 총사령관임을 선포하고, 박일리아에게 군대를 인솔하고 자유시에 출두하라고 명령했다.
박일리아는 이를 거부하지만 홍범도와 안무의 군대는 자유시로 돌아갔다.
박일리아는 고려군정의회에 대해 계속 반항했다.
그러자 갈란다라시윌린은 사할린 의용대의 무장해제를 단행하기로 결정한다.
1921년 6월 28일 자유시수비대 제29연대에서 파견된 군대가 의용대에 접근하여 복종할 것을 종용했다.
의용대는 불응했고, 자유시수비대는 공격명령을 내려 무장해제를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독립군들이 목숨을 잃었고, 전투 끝에 무장해제를 당한 의용대는 전사자와 도망자를 제외한 864명 전원이 포로가 되었다.
1년전 신한촌에서 억울하게 가족을 잃은 독립군은 아까운 목숨을 이렇게 잃어 버린다.
조국을 찾겠노라 말달리던 독립군 중 약 3천명은 이렇게 허망한 최후를 맞는다.
교전 후 대한독립군은 붉은군대 소속으로 편입되어 이루쿠츠크로 이동하게 되었다.
이 사건으로 대한독립군단은 와해되었고, 이 군단을 조직했던 서일은 자유시 참변이 일어나 많은 동지들이 사망하자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두달후 밀산에서 자결한다.
당시 이범석, 김홍일 등 독립군은 자유시로 가지 않고 그냥 만주에 잠복하고 있었다.
지청천은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고 김좌진은 자유시 참변이 일어나기 전에 탈출하여 만주로 돌아왔다.
독립군사상 최대비극인 이사건을 일부 학자들은 LA폭동 대신 해외동포 5대 비극 중 하나로 꼽기도 한다.
한상대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