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월호 특별법 정국을 보면, 정치 리더십의 공백을 그대로 드러낸다. 여야 모두, 국민의 대표로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월호 사태는 누구도 객관적으로 대하기 힘든 문제다. 멀쩡한 아이들을 잃고 하늘이 무너지는 경험을 하고 있는 가족들, 한국사회에서 목소리가 큰 기독교가 이단으로 모는 종교까지 끼어있는데다, 돈 몇 푼을 더 벌기 위해 우리 모두가 항상 해왔던 잘못된 관행의 위험이 민낯을 드러내고, 껍데기만 커져있을 뿐 세금 값을 전혀 하지 못하는 정부의 무능력이 부각되었다. 자식문제, 종교문제, 안전문제가 걸려 있으니 한국사회에서 누가 ‘쿨’할 수 있단 말인가? 거기다 한국사회의 고질적인 이념적 갈등까지 끼어서 너무나도 무식하고 잔인한 공격이 카톡을 덥고, 누가 무슨 의도로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서로를 믿기 힘들게 되어 버렸다. 상황을 아는 외국인에게는 우리가 한국인이라고 자부하기가 참으로 부끄러울 정도다.
 
그러나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타래처럼 얽혀진 현 상황에서 문제의 핵심으로 국민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갈등이 너무 큰 부분에 대해선 서로의 양보나 타협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대한민국 국민이 국회의원들에게 그렇게 많은 월급을 주는 이유다. 청와대 눈치나 보면서, 구조적인 정부개혁이나 사회 갱신보다는 좌파 영향이 커지는 것을 막는데만 급급한 여당의 정치력도 한심하고, 타협책을 찾았다며 언론 발표까지 했다가 격앙된 유족 반발에 바로 장외투쟁을 선언하는 야당의 변덕도 답이 아니다. 지금은 ‘중간’의 답을 찾아 국민 대부분을 설득해 내는 정치력이 필요한 때다. 현재와 같은 극단적이고 소모적인 갈등을 계속하기 보다는 정작 필요한 관피아 척결을 위해 국민이 뽑은 의회가 더 적극적으로 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기능을 ‘제도화’ 해야 한다. 또한 세월호 희생자 부모들이 겪는 깊은 상처에 진심으로 다가가면서도 이들 감정을 넘어 보다 냉철한 대안을 찾는 노력도 필요한 때다. 한쪽의 입장만으로 답을 찾기엔 한국사회는 너무 복잡하고, 너무 다양하다. 그런 현실을 반영해 ‘타협’을 만들어내는 정치가 간절한 때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