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역사교과서를 국정화 하기로 함으로써 한국 전체가 다시 깊은 갈등 모드에 들어갔다. 여기에서는 지금까지의 역사 교육이 어디로 치우쳤는지 따지지 않기로 하자. 한국 역사처럼 급진적인 변화와 상처투성이인 기록에다, 아직도 그 이해당사자들이 여전히 살아있는 사회에서 쉽게 합의나 조화를 기대하는 것 자체가 무리다. 그러나 다양한 목소리와 연구가 부족했는지 몰라도 학계 대부분을 '좌파'로 몰아넣는 정부의 태도는 무책임할 뿐만 아니라, 교과서에 쓰인 정보통제를 통해 '국가적 단합'을 추구한다는 사고방식 자체도 전근대적이다. 
 
그런 식의 교육은 정보의 전달통로가 제약되어 있던 이전 세대에게는 먹힐지 몰라도, 인터넷으로 무장한 새로운 세대에게는 별로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가 정말로 진지하게 '건강한' 역사를 세우기 원한다면 빠져있다고 느껴지는 방향의 연구에 더 많은 연구자들이 나올 수 있도록 학문적 연구를 지원하고, 다양한 미디어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호소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아이들이나 부모들이 '시험 편의'를 이유로 국정교과서를 지지한다 해도, 그 내용을 쓰여진 그대로 다 받아들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매우 유치한 사고방식이다. 그런 국정교과서는 시험 때가 끝나면 쓸 일이 더 없어질 것이고, 그 속에 담긴 가치도 그런 수준 이상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