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은 호주와 한국 모두 큰 변화를 앞둔 해이다. 호주에서는 연방 총선이 후반기에 예정돼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 조기 총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기도 하다.

한국은 4월 총선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될 대선정국으로 한해 내내 치열한 공방의 날들이 이어질 것이다. 의무 투표제도인 호주와 달리 한국의 재외선거 투표율은 턱없이 낮다. 오늘자 본지가 보도한 것처럼 신청 신고 마감 30일 전까지 시드니총영사관 관할 지역(NSW, 퀸즐랜드, 노던테리토리)에서 1072명이 등록을 했다. 새해에는 투표권이 있는 국외 부재자들과 재외선거인들이 남은 한달 동안 적극 참여하기를 기대한다. 이처럼 저조한 투표율이 반복될 경우 한국에서 재외선거 불필요 주장이 또 제기될 것이다.   

호주 총리와 정부를 결정하는 연방 총선은 세금과 복지 등 경제와 이민, 안보와 외교 등 국민들의 실생활에 직접 영향을 준다. 따라서 한인 유권자들도 관심을 갖고 분석을 하면서 소중한 한 표를 던질 필요가 있다. 

올해로 호주 한인사회가 형성된 지 반세기가 됐다. 시드니한인회 출범 연도인 1968년을 기점으로 하면 48년이다. 지난 50년 한인들은 성실성과 근면함으로 호주에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경제적 안정을 얻고, 남다른 교육열로 2세들을 번듯하게 키워냈다. 다수의 한인 1.5, 2세들이 호주의 여러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으며 전문직도 상당수에 이른다. 하지만 아직은 개개인의 성공 스토리 차원이다. 한국계 호주인(코리안 오스트레일리안)이라는 소수민족으로서의 저력을 형성하려면 커뮤니티 차원의 비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의식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첫째는 주인의식이다. 2016년 호주 총선은 내 나라의 총리를 선출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하겠다. 남의 잔치 구경하듯 할 게 아니다. 소수민족 이민 커뮤니티인 한인사회를 위해서는 누가 가장 좋은 정책을 펼칠 지, 호주사회를 분열이 아닌 통합과 포용으로, 안정과 번영으로 이끌려면 누가 총리가 되어야 할지 연구하고 지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둘째는 개방된 민족의식이다. 편협한 민족주의(narrow nationalism)는 경계를 해야 한다. 그러나 한인 후손들이 3세, 4세가 되도록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려면 뿌리교육이 필수다. 성장기에는 민족적 뿌리에 무관심했던 한인 2세들이 나이 들면서 한국어와 문화, 전통에 관심을 갖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다. 한류에 대한 자부심이 자연스럽게 뿌리교육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의 높아진 국가 위상 그리고 한국 대중문화의 국제적 인기가 큰 영향을 미쳤다. 

분단 한국의 실상, 일제 강점기의 역사(독도 영유권, 위안부, 일본 교과서 왜곡 등)에 대한 정확한 인식도 필요하다. 또 호주 한인이민의 역사와 커뮤니티의 실태를 알아야 호주 사회에서 우리가 어디에서 출발해 어디로 가는 지 방향을 잡을 수가 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고 했다. 역사를 모르는 민족에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호주 총선이 있는 2016년 역사의 참여자로서 호주 한인의 저력을 다져가는 도약의 한해가 되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