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 11일 NSW의 절반 이상이 40도 이상의 폭염으로 전력 사용이 사상 최대치로 증가했다. 10일 시드니 서부 펜리스는 46.9도로 올해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시드니 이번 여름 35도 이상 무더위 날씨가 11일째 이어지고 있다. 극단적인 기상이변인 것 같다. 
날씨가 이런 상황이 되자 NSW 최대 전력공급회사인 에이지엘 에너지(AGL Energy)가 토마고 알루미늄제련소(Tomago Aluminium Smelter)의 전력 공급을 이틀 연속 일시(2-4시간) 중단하는 비상 수단을 취했다. 뉴캐슬 인근에 위치한 토마고 제련소는 NSW 전력 사용의 무려 10-12%를 사용하는 공장이다. 낮 최고 기온이 45도를 넘긴 10, 11일 오후 4시반부터 약 3시간 동안 전력 공급을 중단해 약 300 메가와트를 비축했다. 300 메가와트는 지난 8일 밤 약 9만 가구 전력을 중단한 남호주의 공급과 비슷하다. 남호주는 올 여름에 여러번 단전을 하는 등 전력난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에이지엘 에너지가 알루미늄 제련소의 전력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 시드니 일부 지역의 전력 공급을 제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일종의 예비조치(precautionary measure)를 취한 것이다. 한호일보가 위치한 이스트우드 지역도 지난해 한두번 단전 사태를 겪었다. 일반 가정은 물론이고 사업체는 큰 피해를 당한다.  
이같은 예비조치는 1991년 이후 토마고와 합의로 단행되고 있는데 전력 공급 중단 대가로 할인 요금 혜택을 주고 있다. AGL은 베이즈워터 발전소(Bayswater Power Station)가 100% 가동을 했지만 리델 발전소(Liddell Power Station)는 보수 공사 때문에 4개 발전기 중 2개만 가동을 했다고 밝혔다. 

호주는 땅이 매우 광활한 나라인데 시드니와 멜번의 집값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살인적 주거비 부담은 경쟁력 약화 요인이다. 교통운송비, 통신비, 식음료비 등 생활비 부담을 가중시킨다. 땅 덩어리가 큰데 왜 이처럼 주거난이 악화될까? 지난 50여년 동안 주거를 뒷받침할 인프라스트럭쳐 투자를 게을리 했기 때문에 그 고통을 당하는 것이다. 정당의 공약에서 주택난은 일찌감치 제외됐다. 단기 정책으로 해결 불능이고 연관된 문제가 많아 아예 손을 대지 않았던 것이다. 시스템 고장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도 없이 개인적으로 해결할 사회문제라는 변명을 둘러댔다. 
상하수도, 전기, 가스, 통신, 도로 등 지하에 눈에 안 보이는 분야의 투자는 막대한 재정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시드니 북서부의 넓은 지역을 준농지 택지로 용도 전환하려면 해당 지역 상하수도 확충만이 아닌 연결망을 확보해야 하는데 더 많은 비용이 초래될 수 있다. 
과거 인구 억제론자, 보호주의자들의 득세로 이같은 대규모 미래지향적 투자를 게을리했다. ‘작은 정부(small government)'만이 미덕이었고 그런 투자와 정부 주도를 주장하면 바보 취급을 당했다. 

현재 가장 골치 아픈 분야인 주거 문제는 물론 교통, 학교(교육), 보건(병원, 의료보험)도 모두 넓은 의미에서 사회간접자본(social infrastructure) 안에 포함된다. 
호주 인구 증가의 특징은 출산에서 사망자를 뺀 자연증가보다 이민자 유입으로 인한 증가가 더 크다는 것이다. 이런 특징이 지속돼 왔다면 중장기 대비책이 마련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상태 유지 또는 폐쇄적 자세로 대처를 해 왔다. 특히 사회간접자본 확충에서 근시안적 태도를 취해 왔다. 
그만큼 누적된 인프라 투자 부진이 현재의 문제로 드러나는 셈이다. 전력난도 비슷한 양상이다. 여기에 탄소 배출이 심각한 화력발전을 청정 연료(clean coals) 또는 재생가능한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점진적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대표적인 인프라스트럭쳐 중 하나인 에너지 산업, 특히 전기료 앙등이 요즘 큰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산업체의 전기세 부담이 지난 2년 동안 NSW는 150%, 빅토리아는 168%, 남호주는 163%, 퀸즐랜드는 106% 급증했다. 많은 기업들에게 비용 중 전기세가 톱 10에서 톱 4위로 급등했다.  

호주는 무한한 석탄과 가스, 재생가능 자원으로 분명한 강점을 갖고 있지만 이를 대체 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 투자가 부진했다. 그 결과는 경쟁력 약화로 호주가 에너지 거점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에너지 이슈는 국가적 우선순위에서 상위에 있어야 한다. 이런 변화를 되돌리는 것이 너무 늦지 않았지만 초당적으로, 전국적(연방-주정부 협의 체제로) 정책 협조와 정책 행동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또 시기적으로도 전력난 대책은 조속히 시도해야 한다. 1인당 국민소득이 6만달러인 나라에서 매년 여름철에 단전을 걱정해야 한다면 이는 창피한 일이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