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네트워크 활용, 신중한 공조 필요” 
 
호주가 다음에 발생할 수 있는 아시아 금융위기(Asian Financial Crisis)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호주의 고위 경제 관리가 경고했다.
 
최근까지 국제통화기금(IMF) 이사회의 호주 대표로 근무했고 현재 워싱턴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의 연방 재무부 파견 근무자인 베리 스터랜드(Barry Sterland)는 다가올 미래에 아시아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구조적 이유가 있다고 밝혔다.
 
 로위연구소가 15일 발표한 보고서 ‘아시아 경제 위기 관리 : 호주의 전략’(Managing economic risk in Asia: A strategy for Australia)에서 스터랜드는 이런 아시아 금융위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호주는 아시아 지역 네트워크와 주요 국제 경제 기관 회원자격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스터랜드는 “아시아권 안팎 파트너들과의 신중한 공조가 호주에게 더 나은 결과를 달성시키고 아시아 회복과 종국적으로 호주 경제 회복에 기여할 더 큰 자신감을 심어줄 것”이라고 밝혔다.
 
20년 전 아시아 금융위기는 동남아시아 지역 경제에 공황을 초래했으나, 현재 아시아의 금융 안정 위기는 호주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에 집중돼 있다.
 
● “아시아권 금융위기 대응 개입이 호주에 이익” = 스터랜드는 “중국의 대출 성장과 수준이 금융위기를 겪은 다른 국가들의 과거 사태에 비견된다”면서 “중국 금융시스템 내에 부정적인 시나리오에 반하는 완충장치가 있긴 하지만 예측불가능하고 무질서한 결과의 위험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금융위기는 다른 아시아 경제권으로 파급이 불가피할 것이며, 특히 호주는 수출의 3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기 때문에 위기에 크게 노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의 두번째 수출국인 일본은 또 다른 위기의 원천(source of risk)이다. 보고서는 “일본은 아시아권의 핵심 자본시장이기 때문에 불안정이나 신뢰도 상실은 아시아와 글로벌 금융시장에 예측불능의 파급효과(ripple effects)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반도를 비롯한 북아시아의 지정학적 긴장도 아시아권 경제 안정에 위협 요인이다. 스터랜드는 “아시아권 금융위기에 대한 미래 대응에 긴밀히 개입하는(involved) 것이 호주의 국익”이라며 “호주 정부가 금융위기에 처한 아시아 국가들에게 일부 자원을 지원할 수 있도록 현행 법규의 탄력성을 높이는 것이 한가지 선택안(option)”이라고 밝혔다.
 
그는 연방정부가 아시아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는 이웃 국가들에 대한 구제금융 대출에 보증을 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호주는 아시아 금융위기 지원을 목적으로 한 금융안전망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요 선진 20개국(G20)과 국제통화기금 회원 자격을 최대한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