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억 4천만 달러 흑자. 내년 14억3천만 달러, 향후 4년 동안 흑자 예상..
부동산 매입 인지세에 투자자들의 토지세 세수를 더하면 무려 138억 달러. 
이번 주 발표된 NSW 주정부의 예산안에서 흑자 규모와 부동산 관련 주요 지표들이다.  
NSW 주정부는 지난해까지 부동산 호경기로 거두어들인 매입 인지세와 토지세, 자산 매각 등으로 돈이 넘쳐난다. 그 많은 돈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할 정도로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내년 3월말 선거를 앞둔 마지막 예산 편성에서 주정부는 대규모 흑자를 내는 예산안을 이번 주 발표했다. 약 10억 달러 규모의 선심성 정책들이 포함됐다. 
어린이들의 프리스쿨 수업료(preschool fees)를 2년간 지원해 가정 당 연간 $800의 비용 절감 혜택을 줄 예정이다. 또 TAFE(기술전문대학)의 직업 훈련코스에 대한 수업료가 폐지돼 향후 약 10만 명의 견습생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가지 혜택에 약 5억 달러의 예산이 할당된다. 

주정부는 막대한 부동산 세수 외 자산 매각으로도 재원을 마련해 20여년 동안 뒤쳐진 교통분야 인프라스트럭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주 예산안에는 시드니 노던비치링크와 웨스턴하버터널(로젤-노스 시드니) 건설(14km 지하고속도로)에 5억6천만 달러를 투자하는 4년 계획을 발표했다.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완화시킬 편리한 교통 인프라 구축은 필요하다.   

재원 조달에서 주정부는 자산 매각(민영화)을 애용하고 있다. 자유-국민 연립 주정부 집권 후 유료 도로, 항구, 토지등기국 민영화에 이어 전봇대와 전선을 매입한 민간 기업들은 그들의 투자에 대해 상업적 이익을 당연히 요구한다. 이 자산들이 독점적일 때 최종 부담은 결국 소비자 몫이 된다.  
지난 몇 년 동안 폭등한 비싼 전기료가 전적으로 주정부 책임만은 아니지만 수요와 공급 조절을 잘 못한 부분은 분명 정부의 책임이 크다. 공급 라인을 민간 기업이 책임지고 있으니 정부의 가격 통제가 과거처럼 쉽지 않아질 것이다.  
따라서 ‘자산 재활용(policy of asset recycling)’ 원칙에 입각한 자산 매각을 통한 재원 조달은 결과적으로 판단하면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서류(수치)상으로 NSW는 호주 경제의 엔진(powerhouse)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 힘이 대중에게 잘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급여 상승률은 기록상 최약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시드니 집값은 부분적 하락세에 접어들었지만 이미 천정부지로 치솟아 집이 없는 시민들에게는 주거비 고통이 가장 큰 어려움이다. 기초 생활비 특히 전기세 앙등을 비롯한 물가고로 생활에 여유가 없다.  

높은 인구 증가율은 수요와 경제 성장률 상승에 기여하지만 막대한 투자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 교육, 보건, 교통, 주택 등 삶의 질이 하락한다는 단점을 수반한다. 생산성과  생활수준이 타격을 받으면 시민들은 상대적 빈곤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중간 및 저소득층 가구들이 현재 NSW에서 체감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수치만으로는 쉽게 설명되지 않는다.  
내년 NSW 선거와 연방 총선에서 호주 유권자들의 표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도 결국 경제적 여유, 생활고와 직결될 것이다. 
“It's the economy, stupid. (모든 게 경제에 달려있다, 멍청아) 
빌 클린턴 대통령의 발언으로 유명한 이 말처럼 내 주머니 사정에 여유가 없어지면 정치를 잘해도 소용없다는 의미다. 

경제에서 ‘낙수효과’의 실종은 이미 오래됐다. 위에서 물을 흘려보내지만 중간에 다른 곳으로 흘러 맨 아래층에는 거의 물이 가지 않는다. 선거를 앞두고 약간의 선심성 공세로 삶의 질 하락에 불안해하는 유권자들의 불만을 달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오랜 기간 부동산 호경기와 여러 자산 매각으로 주정부는 부자가 됐는데 유권자들은 삶의 질이 하락하고 있다는 불만을 갖고 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