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는 겨울인 6월부터 독감과 감기가 유행하는 기간이다, NSW는 올해 1-3월 독감 환자가 6,400명이 발병했다고 한다. 작년에는 3,148명이었으니 2배 이상 급증했다. 
학교 결석률도 근래 크게 늘었다고 한다. 시드니에서는 동부, 남부, 북부 지역의 16개 양로원에서도 발병해 1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호주 여행자들이 겨울철인 북반부 국가들을 방문하고 독감에 걸려 호주로 귀국하면서 호주의 여름에 독감균을 퍼트린 결과가 주요 원인이다. 
독감과 감기는 모두 바이러스가 옮기는 병으로 증상이 비슷하지만 대처 방법은 다르다. 감기는 200여개의 변종된 균이 옮기기 때문에 감기 예방 주사는 아직 없다. 그런데 독감(인플루엔자, influenza)은 균주 A, B, C 중에 주로 인플루엔자 A형이 문제가 된다. 그런데 A형이 많은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우리 몸이 인식하기 어렵다. 그래서 많은 변이를 넣은 예방주사(백신)를 만들어 항체가 생기게 했다. 그렇다고 주사 맞은 사람이 100% 안전 하지는 않다. 같은 균주일 경우 70-90%까지 예방이 가능하다. 예방접종을 해도 2주 후에 면역력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3, 4월 안에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방주사가 없을 당시인 독감은 맹위를 떨쳤다. 1918년 세계 1차대전이 끝나고 귀국하는 군인들에 의해 스페인 독감이 세계적으로 유행하여 1919년 까지 전세계에서 5천만명이 사망했다. 근래인 1998년 7월 13일 홍콩에서 처음으로 독감이 시작하여 6개월간에 독감으로 세계에서 사망자만 100만명이 넘었다. 그 유명한 홍콩 독감이었다. 

독감 예방주사로 인해 어린이와 고령자 사망률이 크게 감소했다. 아직도 미국 의학 통계국에 의하면 매년  세계에서  29만1천명에서 최대 64만6천명이 독감으로 사망한다. 독감 바이러스 때문이 아니고 몸에 면역체인 티 셀( T-Cell)이 강력한 면역력으로 균을 공격하다 우리 몸의 세포를 파괴하게 되어 조직이 파괴되어 사망한다는 것이다. 항생제를 복용하면 면역세포의 활동이 크게 줄어 감소된다고 한다. 

감기는 1~2주 동안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의 증상이 완만하게 지속되고 성인은 열이 드물거나 미열에 그치지만 유아나 어린이는 발열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대부분 1~2주 지나면 자연 치유된다. 하지만 독감의 경우, 증세를 방치하면 치명적인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독감에 걸리면 감기 증상에 고열•두통•근육통•관절염 등 심한 몸살 기운을 더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독감은 폐렴과 같은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65세 이상의 노인•심장질환자•만성폐질환자•당뇨환자 등에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독감은 일단 걸리면 의사를 방문하여 지시에 따르는 것이 상책이다. 감기에 걸리면 바이러스와 싸우는 백혈구 속의 비타민 C가 급격히 감소한다. 때문에 평소 권장량보다 많은 양을 섭취해야 몸 속 비타민 C의 평균 수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면역력을 높여줘 2차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감기와 독감의 감염 경로 역시 차이가 있다. 감기는 환자에게서 나온 바이러스가 손을 통해 접촉됐을 때 감염되는 경우가 잦다. 따라서 사람 많은 곳에 외출하고 돌아온 후에는 반드시 깨끗하게 손을 씻어야 한다. 반면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기는 작은 물방울에 묻어 인체 외부로 나오고, 이것이 공기 중에서 다른 사람의 호흡기에 전달되는 형태로 퍼져나간다. 기침할 때 마스크로 입을 가리도록 권하는 것도 이러한 전파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독감도 손을 깨끗이 씻어야만 감염을 막을 수 있다. 감기나 독감이나 예방은 손을 깨끗하게 씻는 것이다. 

생일 축하 노래(Happy birthday to you)를 두 번하는 동안 손을 깨끗이 씻으라고 한다. 손씻기 6 단계를 소개한다. ▲손바닥과 손바닥을 마주 대고 문지르기 ▲손등과 손바닥을 마주 대고 문지르기 ▲손바닥을 마주 대고 손깍지를 끼고 문지르기 ▲손가락을 마주 잡고 문지르기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다른 편 손가락을 돌려주며 문지르기 ▲손가락을 반대편 손바닥에 놓고 문지르기 등 총 6단계의 손씻기 방법이다.  

다음은 실내에 습도를 지키도록 한다. 습도가 적정 기준(50~60%)보다 낮거나 너무 높으면 우리 몸은 질병에 취약한 상태가 된다. 겨울은 여름보다 습도가 훨씬 낮은 환경에서 생활한다. 우선 계절적 요인으로 여름보다 습도가 10~20% 낮다. 또 추위 때문에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데, 실내는 난방을 하는데다 환기를 제대로 안 해 습도가 낮아진다. 공기가 건조하면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오래 떠다닐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전파 확률도 높아진다. 실내가 건조하면 코 점막에 붙어 있는 섬모의 운동 기능이 떨어진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