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무길
 
할로겐램프의 강렬한 빛을 받으며 날개를 펴고 있는 크리스털 조각은 분명 호투 잠자리였다. 좌우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투명한 네 개의 날개 위에서 마치 잎맥처럼 상감 처리된 금세공이 반짝이고 있다. 연두색 잠자리 몸통은 꼬리 부분으로 가면서 점점 연해지는 파스텔 블루의 색조를 띠고 있다. 장식장 유리문을 열어주면 당장에라도 투명한 날개를 푸드득 거리며 쇼핑센터 밖, 호주의 푸른 가을 하늘을 가르며 날아갈 듯한 형상이다. 
 
아내와 쇼핑하던 중 스와로브스키 크리스탈 전문점 쇼윈도우 앞에 서 있는 나는 발이 떨어지지 않았다.
‘당신 뭘 그렇게 뚫어져라 보고 있어? 내 생일선물이라도 고르는 중이야?’
아내의 생일 선물로 사기에는 가격표에 펜으로 작게 적어 놓은 숫자가 너무 컸다. 그러나 그것보다도 더 큰 것은 크리스탈 잠자리가 나를 40여 년 전, 유년의 한순간으로 순식간에 빠져들게 한 것이었다.
 
아마도 초등학교 저학년 어느 해 여름이었을 것이다. 요즘 아이들 같으면 동네 풀장으로 가거나 아니면 부모와 함께 멀리 떨어진 비치로 가서 물놀이를 즐겼을 것이다. 그러나 그 시절엔 풀장도 없거니와 자가용도 없었기에 동해나 서해안의 바닷가를 찾아간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시절이었다.
내가 살던 동네에서 30~40분 정도 걸어가면 커다란 연못이 있었다. 연못은 무슨 연유에선지 ‘이성길’이라는 사람 이름이 붙어 ‘이성길 연못’이라고 불렸다. 그 일대의 땅을 소유하고 있던 지주의 이름이었고, 그 연못도 이 씨의 소유지였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나 싶다. 
아무튼 이성길 연못은 춘천에 사는 어린이들에게 일종의 자연공원이었고 풀장이었다. 연못의 주위에는 논과 배추나 무를 심은 밭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그것은 연못이 아니라 논에 물을 대기 위해 만들어놓은 작은 저수지였던 것 같다. 개인 소유의 땅이었으면서도 이성길 연못은 어른이나 아이나 할 것 없이 누구나 가서 즐길 수 있는 일종의 공공 유원지였다. 못의 바닥은 모래나 자갈이 아니라 검은 진흙이었다. 아이들이 수영을 하거나 물장구를 치고 놀면 잠시 후 못의 물은 흙탕물로 변했다. 지금처럼 농약을 사용하는 시절이 아니어서 그랬는지 주변에는 각종 곤충과 벌레, 미꾸라지나 피라미 같은 물고기들이 많았다. 
잠자리만 해도 보통 잠자리에서부터, 고추잠자리, 실잠자리, 호투 잠자리 등 종류가 다양했다. 그중에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가장 많았던 곤충은 바로 이 연못에서 얼마든지 만날 수 있는 호투 잠자리였다. 그것은 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통 잠자리하고는 다르게 몸통이 크고 흑갈색, 연두색, 하늘색 등으로 채색된 화려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당시 여름방학 과제 중 하나가 곤충 채집이었다. 우리는 잠자리채를 하나씩 들고 수영도 하고 방학 숙제도 해결할 겸 자주 그곳을 방문했다.
 
호투 잠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수놈보다는 크기가 작은 암놈 한 마리를 먼저 잡는 것이 순서였다. 그렇게 포획된 암놈의 날개와 발에 호박꽃 수술에 묻어있는 노란색 꽃가루를 잔뜩 묻혀 놓고, 준비한 실을 다리에 묶은 다음 천천히 날렸다. 그러면 호투 잠자리 암놈은 실의 길이만큼 자유로워진 공간에서 수놈들을 부르기 시작했다. 화려한 호투잠자리가 서서히 그러나 힘차게 나는 모습은 어린 나를 정말 설레게 했다. 잠시 후면 어디서 날아왔는지 알 수 없는 수놈이 암놈의 주위를 선회하다가 그중 한 마리가 갑자기 급강하하면서 암놈의 몸에 달라붙었다. 잠자리 커플의 공중 곡예 같은 데이트가 시작되는 것이었다. 그러면 아이들은 모처럼 어렵게 주선한 랑데부가 깨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끈을 잡아당겨 암놈에게 붙은 수놈을 떼어냈다. 잠자리 잡기에 능한 아이들은 손가락 사이사이마다 훈장처럼 호투 잠자리를 끼고 친구들에게 자랑했다. 나처럼 호투 잠자리 사냥에 영 서툰 아이들은 열등감으로 내내 시달려야 했다.
 
이성길 연못에는 호투 잠자리 외에도 우리들의 흥미를 끌던 동물들이 많았다. 개구리, 올챙이는 물론이고 날씨가 흐리고 비라도 쏟아질라치면 지천에 맹꽁이들이 나타났다. 마치 풍선껌처럼 배를 부풀린 채 맹꽁대면서 그야말로 코믹하고 즐거운 구경거리를 우리에게 제공해 주었다. 그중에 무엇보다도 신기한 놈은 물의 표면을 미끄러지듯이 스케이팅하는 소금쟁이들이었다. 소금쟁이들은 연못 속에서 수영을 하며 노는 아이들을 아랑곳도 하지 않았다. 물 위를 얼음 지치듯, 짧은 직선을 그으며 이동하는 모습은 어린 나의 눈에 너무나 신기하게 비쳐졌다. 소금쟁이는 1초에 자신의 몸통 길이의 100 배 정도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고 했다.  도대체 소금쟁이는 물에 빠지지 않고 어떻게 저렇게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어린 마음에 들었다. 최근에 과학자들은 소금쟁이가 가운데 다리로 물의 표면에 소용돌이를 일으켜서 그것을 추진력으로 삼아 앞으로 나간다는 것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그러나 그것은 그냥 자연의 모습이었으며, 우리는 그 신비함 앞에서 함께 어울려 노는 것만으로 충분했다.
 
오스트리아 최고의 장인들이 크리스털을 정교하게 깎아 만든 호투 잠자리는 나의 시선을 받으며 유리장 속에서 무지갯빛을 발하고 있다.
‘뭐해 빨리 오지 않고선’ 발길을 재촉하는 아내의 목소리가 멀리서 들렸다.
거의 동시에 내 앞에 하얀 장갑이 나타났다.
호주 점원의 손에는 키가 쥐어져 있다. 그리고 조용히 내게 말했다.

‘I can open it for you.’
‘Please open it.

나는 꿈결에서 말하듯이 답했다. 
키가 부드럽게 돌아가고 유리장의 문이 열렸다.
그러자 크리스탈 호투 잠자리의 날개가 푸드덕 소리를 내며 공기를 힘차게 찼다. 쇼핑센터의 대형 윈도우를 통해 창공으로 날아가는 잠자리의 모습이 점점 작아지고 있었다.

최무길(번역가, 수필가)
수필집 '무너지는 것들 속에서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