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shutterstock
사진 출처 shutterstock

서호주 퍼스에서 북쪽으로 약 1,500km 떨어진 카라타(Karatha)에 사는 이민자 나오미 왕게만(Naomi Wangemann)은 청소부 일에 자부심은 있지만 자신의 전문 능력을 활용하지 못해 항상 아쉬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호주로 건너오기 전 그는 일본에서 요리사, 회계사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지만, 다른 많은 이민자처럼 호주에 와서는 좀처럼 전문직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호주 이민제도에 대한 심층 검토 결과, 근본적 문제가 드러나 ‘대대적 개편’(major reform)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정부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현 이민제도는 지금 이 순간에도 이민자들에게 계속 영향을 주고 있다.

노스웨스트 다문화 협회(NMA)의 카렌 황(Karen Huang) 회장은 “도시는 물론 지방의 작은 마을에 정착한 여러 이민자가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한계로 기대와 현실 사이에서 많은 좌절감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커튼 대학(Curtin University)의 파리다 포즈다(Farida Fozdar) 사회학 교수는 “호주는 스스로를 ‘다문화 국가’라 칭하지만, 실제 그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며 “이민자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에 극복해야 할 장벽이 너무 많다. 이 때문에 지역사회에 동화되지 못하면 고립과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많은 이민자가 전문기술을 갖고 호주로 이주하지만, 그에 걸맞은 직장을 얻지 못하고 있다. 직업은 종종 정체성의 핵심 측면 중 하나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을 경우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우가 흔하다. 전문 지식을 활용하기 위한 투쟁은 정신건강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호주지방연구소(RAI)의 킴 호튼(Kim Houghton) 수석 경제학자는 “단순한 이주 프로그램만으로는 이민자들의 원만한 정착을 도울 수 없다. 모든 작은 도시를 살기 좋고 활기차며 매력적인 곳으로 만들기 위해 범정부적으로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호주의 지속가능성과 번영을 위해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기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종 다문화 행사 등을 통해 이민자들이 지역사회로부터 환영받는다는 느낌을 받으면 그곳에 머물며 기여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