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9월 채널 세븐의 유명 시사 다큐멘터리 스포트라이트는 아마도 올해 가장 논쟁적인 방송을 내보냈다. 스포트라이트는 디-트랜지셔닝 “De-Transitioning”이라는 제목의 방송을 통해 성전환 수술을 한 뒤 그 것을 후회하고 역 성전환 수술을 원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뤘다.

스포트라이트에 등장한 인물 중 18세의 클로이 콜 (Chloe Cole) 은 현재 미국에서도 가장 논쟁적인 인물이다. 콜은 사춘기가 시작될 연령에 사춘기 차단제 (puberty blocker)를 사용하고 15세에 되돌릴 수 없는 영구적인 이중 유방 절제술을 통해 성전환 수술을 실시했다. 

그녀는 7세에 자폐증 (Autism)과 주의력 결핍증 (AHDH)를 진단받았는데 소위 ‘전문가들’은 문제의 원인을 잘못된 성정체성으로 진단했다. 의사들은 그 해결책으로 성적 지향 확인 수술(gender-affirming surgeries)을 하라고 권했다. 콜에 의하면 당시 의사들은 부모에게 ‘죽은 딸과 살아 있는 아들’ 사이에서 선택할 것을 요구했고 부모는 ‘전문가’들의 조언을 따르기로 결정했다. 

콜은 이후 13세의 나이에 여성성의 발현을 막는 사춘기 차단제를 처방받으면서 성전환 치료를 시작하고 15세에 유방 절제 수술을 받는다.

콜은 2021년 성전환 수술을 되돌리는 역성전환 수술을 받았지만 앞선 수술로 인해 앞으로 모유 수유 등 여성으로서의 삶을 온전히 누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한탄했다.

이런 사례는 미국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필자가 최근 읽은 글에서는 대략 호주 전역에서 1000명의 청소년들이 성전환 치료를 받고 있다. 

보통 미성년에 대한 성전환 치료는 학교 직원이 학생들의 성정체성을 확인하는데서 시작한다. 교직원이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과 상담을 통해 학생의 성정체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의사들이 심리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그들의 성 정체성이 태어날 때 성별과 다른 것으로 판단하면 사춘기 차단제를 복용하기 시작해 남성성 또는 여성성이 발현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수년 후부터 성호르몬제를 투약 한다. 경우에 따라 신체적으로 영구적인 전환 수술도 실시된다.

문제는 이 모든 절차와 그 뒤에 있는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콜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소위 ‘전문가들’도 사춘기 이전 아동과 청소년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들을 성 정체성 문제로 잘못 진단할 수도 있다. 자폐와 같은 문제를 겪는 자녀들과 그들의 부모가 특히 이러한 오진에 취약하다. 더우기 이로 인해 약물을 투여 받거나 신체적 변화를 꾀하는 것이 청소년에게 영구적인 위해를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예상하는 것과는 달리 성적 지향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반박 불가능할 정도의 과학적 증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가장 보수적인 데이터를 참고하더라도 적어도 1%의 사람들은 성전환 치료 후 그 결정을 후회한다.

NSW 의회에 소위 전환 치료 금지법이 계류중이다. 종교 자유를 추구하는 Freedom of Faith라는 단체에 의하면 빅토리아 주의 법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진 이 법은 기도, 설교, 상담 등 성적 지향성을 억압할 여지가 있는 모든 활동을 처벌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남성으로 태어난 자녀가 자신의 정체성을 여성이라고 밝히고 부모가 이를 부인하는 조언을 한다면 법적인 제재 대상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는 18세 미만 청소년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성인의 도움이 필요하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이들은 자유롭게 술을 사거나 pub에 출입할 수 없으며 성적 행위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는데도 제약이 따른다.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미성년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 원칙이 성적 지향성에 대해서만 예외일 이유가 없다.

과거 전환 치료의 부정적인 사례가 있었다면 그에 맞는 대응을 하면 될 일이다. 성정체성에 대한 모든 대화, 상담, 기도 등을 금지할 수 있는 법은 마땅히 통과되어서는 안된다.

다른 많은 문제와 마찬가지로 미성년은 성 정체성에 대해서도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다른 문제와 마찬가지로 자녀의 성정체성에 대해 조언할 수 있는 부모의 권리도 보호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