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shutterstock
이미지:shutterstock

한 상원 조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차원의 일관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보건, 노인돌봄, 사회서비스 등을 다루는 '커뮤니티 문제에 관한 상원 상임위원회(Senate Standing Committees on Community Affairs)'는 ADHD 환자가 직면한 현실을 파악하기 위해 700건의 의견서와 수십 명의 증언을 검토했다.

그 결과, 상원의원들은 비용, 지역, 성별, 문화적 및 언어적 배경, 각 주/준주마다 다른 규정 등에 따라 치료와 지원에 대한 접근성이 상이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ADHD 환자가 도움을 받으려고 수년을 기다려야 하는 사례도 있었다. 

상원 위원회는 이러한 접근 장벽으로 인해 ADHD 환자의 기대 수명이 짧아지고 수감, 수면 장애, 불안, 우울증, 자살률이 높아지는 등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호주인 20명 중 1명이 ADHD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많은 사람이 오진을 받거나, 치료를 받거나 오명(stigma)을 다룰 때 장벽에 부딪힌다고 한다.

상원 위원회는 약 300쪽의 보고서에서 만장일치로 15가지 권고안을 제시했다. 주로 국가 정책의 일관성과 치료 비용을 낮추는 것과 관련했다.

여기에는 ADHD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추가 연구, 의약품보조금제도(PBS)에 대한 검토, ADHD 관련 의료 전문가에 대한 교육 개선 등이 포함돼 있다. 

상원 보고서에 따르면, ADHD는 만성적이고 복잡한 신경 발달 장애이다. 지속적인 부주의, 과잉 행동, 충동성 패턴 등에 중점을 두고 진단되는 이 장애는 개인의 삶의 모든 요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체로 12세가 되기 전에 ADHD 진단을 받지만, 여러 가지 요인 탓에 훨씬 늦게 진단받을 수도 있다. 

만약 ADHD 아동이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면, 부당하게 '게으른 아이'로 치부돼 학교생활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사회적 배제를 받을 수 있다.

성인들도 ADHD를 가질 수 있는데, 높은 비용이 치료와 지원을 망설이게 만들기도 한다.

상원의원들은 이번 조사에서 "시스템 전반에 걸쳐 보다 일관되고 조율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뜻을 모았다.

연방정부는 3개월 이내에 이 상원 보고서에 대한 답변서를 제출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