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평한 교육 기회’ 소외.. 정학 조치 남발
학부모들 “예산 확대, 교사 훈련 시급”

올해 초 강력한 사회적봉쇄조치가 시행되는 동안 초중고 학교의 원격수업을 따라가는데 어려움을 겪은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학생들의 사례가 전해지며 이들이 교육과정에서 오랫동안 소외된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ADHD 학생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단체들은 “ADHD처럼 비교적 낮은 등급의 행동장애가 있는 학생들은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적절한 지도 및 교육을 제공받지 못한채 교실 밖으로 내몰려왔다”고 지적했다. 
2019년 NSW 교육청 통계에 따르면 2016부터 4년 간 약 600여명의 킨디 학생이 정학처분을 받았는데 이중 70%가 행동장애 진단을 받은 학생들이었다. 

사실상 호주 학교 안에서 ADHD처럼 일종의 ‘경계선상’에 있는 행동장애에 대해 올바른 인식과 적절한 교육방안이 없다. 단순한 문제행동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높아 처벌과 정학조치가 남발되어 왔다. 

행동장애는 교육기관에 책정되는 정부지원금 혜택에서도 제외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NSW 교육부는 통합지원기금(Integration funding support)을 마련하여 일반 교육기관에 등록된 장애학생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이 기금은 주로 자폐질환 및 중증 이상 정신건강질환 학생에 한해 추가교사 고용, 추가학업 도우미 교사 고용, 특별 프로그램 기획 등에 사용될 뿐이며  ADHD 학생은 수혜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호주ADHD 학부모 협회 (Parents for ADHD Advocacy Australia)에서 발표한 통계보고서

ADHD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교육부 펀드 지원이 부족하다.  학교 자체적으로 서포트를  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교장의 재량이 중요한데 적절한 지원을 받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학급 담임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ADHD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교사를 만나  교육이 퇴화됐다. 아이에게 필요한 지원을 요청했지만  ‘부모가 요구가 많다’, ‘그 정도의 서포트를 하기엔 시간이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라고 경험을 소개했다.

 “저학년 때는 언어치료에 대한 펀드를 받아 개인 서포트가 일부 가능했다. 그러나 고학년이 되면서 ESL 수업을 통한 그룹 치료 방식으로 서포트가 이루어졌는데 사실상 적절한 서포트는 없었다.”

“불안장애는 심리건강 카테고리에서 펀드 지원이 가능하다고 알고 있었지만  학교는 지원요청을 거절했다. 정확한 이유와 상세한 설명은 없었다. 학교에 체계화된 지원 기준이나 지원 방법에 대한 인프라가 현저히 부족하다.”

최근 ‘호주ADHD 학부모 협회 (Parents for ADHD Advocacy Australia, 이하 학부모협회)’에서 ADHD 자녀를 둔 1200여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교사가 ADHD 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느낀다는 응답은 24% 이하였고 교장은 27%, 학교카운셀러는 25% 이하에 그쳤다.

응답자의 17%만이 학교에서 펀드 지원을 받는다고 대답했는데 주로 보조교사를 통한 지원이었다. 

학부모 협회의 루이스 쿠첼대변인은 지난 3월 ABC 방송 Q&A 교육 스페셜 편에 질문자로 참석해 “호주 정부가 교육의 질적 향상 대책을 논의하면서 ADHD 등 장애 학생들을 간과하고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정학조치나 문제행동개선센터로 내모는 등 공평한 교육기회 제공에 힘쓰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한 학부모는 “전반적으로 교사들의 ADHD 질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ADHD학생 지도, 교육에 대해 적절한 트레이닝을 제공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주변에서 ADHD로 문제가 생기면 학교에 오지 않도록 권유하는 경우도 목격했다. 결국 정학으로 이어진다. 학교에서 서포트는 없고 정학조치가 반복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녀의 행동장애에 대해 구체적 관리대응플랜이 작성, 적용된 경우는 23%에 불과하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