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소니 알바니지 총리는 카타르항공이 더 큰 항공기 운항, 2차 공항(secondary airports) 이용 등 주요 공항 운항 증편 외에 다른 방편이 있다고 말했다.(사진:ABC)
앤소니 알바니지 총리는 카타르항공이 더 큰 항공기 운항, 2차 공항(secondary airports) 이용 등 주요 공항 운항 증편 외에 다른 방편이 있다고 말했다.(사진:ABC)

연방정부의 카타르항공 호주행 운항 증편 불허 결정을 두고 정치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야당에선 '경쟁사인 콴타스항공(이하 콴타스)과 정부 사이에 거래가 있었던 것은 아니냐' 압박하는 한편, 정부는 '로비는 없었고, 운항 제한 없는 공항도 있다'고 맞서는 중이다.

야당은 월요일(4일) 의회 질의 시간에 카타르항공의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운항 주 21회 증편 요청을 거절한 이유를 캐물으며 앤소니 알바니지 총리를 집중 공격했다.

피터 더튼 야당 대표는 알바니지 총리가 앨런 조이스(Alan Joyce) 콴타스 최고경영자(CEO)와 "담합했다(sweetheart deal)"고 주장했다.

더튼 대표는 연방정부의 결정이 시장 경쟁을 약화시켜 물가 상승을 견인하여, 휴가를 떠나거나 가족을 만나기 위해 여행하려는 호주인의 비행기 티켓값을 올렸다고 비판했다.

알바니지 총리는 의회에서 해당 결정과 관련해 콴타스와 대화는 없었고 로비 역시 없었다고 부인했다.

이어 총리는 항공 노선 합의는 항공사가 아닌 정부 간에 이뤄진다면서 "우리 정부는 경쟁을 지지하지만 글로벌 항공은 자유 경쟁이 아니다"라고 역공했다.

알바니지 총리는 카타르항공이 원한다면 언제든지 호주에 더 많은 좌석을 "지금 당장" 추가할 수 있다고도 했다.

그는 "카타르항공은 애들레이드, 골드코스트, 아발론, 호바트로 원하는 만큼의 항공편을 운항할 수 있고, 오늘 보잉 777을 에어버스 A380으로 바꿔 더 많은 사람을 데려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야당 교통 담당 의원인 브리짓 맥켄지(Bridget McKenzie) 국민당 상원의원은 정부가 호주 관광 산업을 활성화할 기회를 막은 증편 불허 결정을 상원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

맥켄지 상원의원은 노동당 정부가 호주에서 가장 불만이 많이 제기되는 기업을 보호하려 한다고 추정된다며 캐서린 킹 교통장관의 이 결정과 관련된 문서 공개를 공식적으로 요청했다. 

사이먼 버밍엄(Simon Birmingham) 야당 상원 원내대표는 캐세이퍼시픽항공, 싱가포르항공 등 항공사는 왜 가격 인하를 위해 증편을 허락 받았는지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노동당 상원 원내대표인 페니 웡(Penny Wong) 상원의원은 양국 간 항공 협정 제한이 없는 골드코스트, 캔버라 등의 다른 공항에서 운행하는 것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고 받아쳤다.

그러면서 웡 상원의원은 팬데믹 때 아무 대가 없이 콴타스에 수십억 달러의 세금을 건네고, 경영난에 빠진 버진 항공이 외국계 사모펀드에 인수되는 것을 방관한 야당에 조언을 들을 것은 없다고 반격했다.

녹색당은 야당의 공세에 올라탔다. 엘리자베스 왓슨-브라운(Elizabeth Watson-Brown) 녹색당 교통 담당 의원은 "사람들은 콴타스 보호를 위한 장관급 개입이 있었는지 여부를 알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왓슨-브라운 하원의원은 "노동당 정부는 현재 소비자법 위반 혐의로 제소 당한 회사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녹색당은 카타르 항공 증편을 요구한다기보다는 정부가 소비자가 아니라 대기업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문제 삼았다.  

이러한 정치권의 압박은 몇몇 주정부와 관광산업의 지지에서도 힘을 얻고 있다.

퀸즐랜드 주정부는 연방정부에 카타르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항공편을 더 많이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

남호주 주정부도 마찬가지다. 주정부 대변인은 콴타스항공이 애들레이드행 국제선 운항을 중단했다고 언급하며 "카타르항공은 다른 많은 국제 항공사보다 남호주 주민에게 훨씬 많은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말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에 따르면, 리코 머커트(Rico Merkert) 시드니대 교수는, 카타르항공이 추가 편성하려 한 항공편에 편당 300~330명을 태운다고 가정한다면 연간 10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저작권자 © 한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